이민석(국민대 컴퓨터공학부 교수)

2014년 7월 대통령이 참석한 소프트웨어 중심사회 실현 전략보고회를 기점으로 초중고에서 소프트웨어 교육 의무화가 천명되었으며, 여러 대학에서도 비이공계 학생들을 포함한 전교생 소프트웨어 교육을 시작했다. 특히 미래창조과학부는 지난 10월 소프트웨어 중심대학 8곳을 선정하고, 이전의 소프트웨어 특성화 사업과 함께 대학에서의 소프트웨어 교육 혁신을 주도하고 있으며 이를 점차 확대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이런 환경에서 국민대는 올해부터 비이공계 1학년을 대상으로 소프트웨어 교육을 의무화하고 두 학기에 걸쳐 도구로서의 소프트웨어뿐만 아니라,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를 이용하여 문제 해결하는 방법을 배우도록 하고 있다. 많은 학생들은 이 과정을 통해서 소프트웨어라는 논리와 절차 중심의 사고 도구에 흥미를 느껴 열심히 배우고 있다.  또 이 과정이 자신의 경력 개발에도 큰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시도는 처음이었기 때문에 보완할 점도 많다. 우리나라 대부분 대학은 커리큘럼과 운영 시스템이 유사하기 때문에, 전교생 소프트웨어 교육을 시작하거나, 계획하고 있는 모든 대학도 국민대학교와 유사한 상황을 경험하게 될 내용이 아닐까한다.

가장 먼저는 동기 부여의 문제이다. 특히 예체능계열 학생들의 경우, 예상하지 못했고, 생소할 수도 있는 과목을 필수 과목으로 수강하는 부담이 있으며, 전반적으로 우리나라의 대학 1학년이라는 특수한 상황도 고려되어야 한다. 이들이 왜 소프트웨어를 배워야하는지 내적 동기를 불러일으키기 위한 방안, 그리고 쉽지 않은 수업에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는 교육 기술적 요소들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각 전공 도메인 전문가의 동기 부여 특강, 피지컬 컴퓨팅 요소의 도입, 언플러그 교육, 타 전공과의 그룹 활동 등 다양한 시도가 요구하다.

두 번째는 교육을 품질을 담보하기 위한 전공별 강사 및 조교 확보이다. 이는 각 전공별 교육 콘텐츠를 개발하고 강의, 실습 교육과 과제 수행 지원을 통해 일정 수준의 교육성과를 담보하기 위함이다. 즉, 각 전공 분야별 강사풀이 필요하며, 학생들의 프로그램 실습을 지원할 조교도 필요하다. 현재 미국의 유사한 소프트웨어 강좌들에서는 수강생 10~12명 당 한 사람 정도의 조교가 할당되는 것이 보통인데, 이를 위해서는 인건비도 문제이지만, 많은 대학에서는 대학원 과정 학생, 또는 훈련된 학부 학생 수가 부족한 문제도 극복해야할 이슈이다.

세 번째는 평가 및 교육 지원시스템의 보완이다. 전교생 소프트웨어 교육은 대형 강의, 온라인 강의, 실습 등 복합적인 방식의 교육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적정한 규모의 단일 강좌에 최적화된 보통 대학의 강의/학사 지원시스템은 이런 상황에 잘 맞지 않는다. 교수와 조교와의 역할 관계, 온오프라인 출석, 과제의 제출과 자동 채점 등 수업 및 학습 과정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산 시스템이 필요하다.

네 번째는 더 높은 수준의 소프트웨어 교육을 받고자하는 학생들을 위한 채널을 확보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해커톤과 같은 융합적 활동, 연계 전공 프로그램의 개설, 학교 외부의 커뮤니티와 연계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소프트웨어 교육의 보편화는 세계적인 현상이다. 지금은 소프트웨어 교육과 확산의 중대한 기로에 있는 시점이다. 특히 각 대학에서의 진성성 있는 노력과 그 성과들이 공유되어 빠른 시일 내에 안착되기를 기대한다.

<한국대학신문>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