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재정지원사업 대응전략 발표

“컨설팅업체 맡겨봐야 전략적 연계 안 돼, 더 많이 고민해야”
“이제 대학의 주인은 학생, 학생 만족도가 최고의 가치”
“구조개혁평가는 대학 교육활동 살피는 정부시각의 정점”

▲ 배상훈 성균관대 교수가 프레지던트 서밋에서 정부재정지원사업 현황과 대학의 대응전략을 설명하고 있다.(사진=한명섭 기자)

[대전=한국대학신문 이재익 기자] “결국 이해와 의지의 문제입니다. 새로운 흐름에 대한 인식과 함께 대학의 기능이 무엇인지 인식하고 대학마다 가진 저마다의 학풍을 보고서에 녹여낼 수 있어야 합니다.”

배상훈 성균관대 대학교육혁신센터장은 19일 건양대 메디컬캠퍼스에서 진행된 대학경쟁력네트워크 프레지던트 서밋 제4차 콘퍼런스에서 ‘정부재정지원사업 현황과 대학대응전략’을 주제로 발표하면서 정부재정지원사업에 대응하는 가장 큰 조건으로 진정성을 꼽았다.

배 교수는 “대학에 대한 정부재정지원사업을 평가한 교수들이 그동안 대학들을 평가하면서 무엇을 봤는지를 말해보겠다”며 운을 띄웠다. 배 교수는 지난 1년간 성균관대 대학교육혁신센터에서 진행한 전국 주요대학의 학부교육선진화 선도대학(ACE) 사업계획서와 평가위원들의 인터뷰 분석결과를 함께 발표했다.

가장 먼저 언급된 것은 정부가 대학을 바라보는 시선이었다. 배 교수는 “정부는 대학의 탁월성을 본다. 그동안에는 대학을 보는 시각은 입학생들의 수능 점수, 논문 수, 언론의 대학평가 랭킹 등이었다. 하지만 이제는 대학의 교육활동을 보고 있다. 그것의 정점이 대학구조개혁평가다”고 말했다.

진정성과 구체성이 함께 묻어나오는 지원서에 대한 설명도 나왔다. 교육과 학생 지원으로 대표되는 정성평가에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스스로를 진단하고 구체적으로 교육의 질을 관리하겠다는 의지가 어떻게 설명됐는지를 본 것이다. 배 교수는 “사업에 선정된 대학의 지원서에는 대학교육의 비전과 실행 전략이 굉장히 구체적이었다. 경영진의 의도를 제대로 밝히기 위해 애쓴 흔적이 여실히 나타났다”고 말했다.

두 번째로 학생들의 관점이 언급됐다. 무엇이 좋은 교육인지를 생각하면서 사업계획들이 학생들의 입장에서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살폈다는 것이다. 배 교수는 “이제는 학생들이 얼마나 만족하는가가 가장 큰 가치가 됐다. 시험 출제자라고 할 수 있는 정부의 의도는 학생은 제대로 교육받고, 교수는 잘 가르치고, 대학은 잘 지원할 수 있는지를 살피는 것이다. 자녀를 어느 대학에게 보낼지 고민해보면 이해하기 쉽다”고 설명했다.

대학이 위치한 지역에서의 기능도 평가 기준 중 하나였다. 배 교수는 “대학들은 지역사회나 고등교육체계에 어떤 가치를 두고 있는지가 다른 학교와 어떻게 다른지 차별성과 혁신성을 어필하려고 애썼다. 사립대의 경우에는 건학이념을 오늘날의 시점에서 재해석하려는 경향도 있었다”고 밝혔다.

대학에서 학생들이 어떤 경험을 하게 되는지도 언급했다. 이 경험에는 교육과정에서 얻게 되는 경험과 함께 대학에서 경험하는 교우관계와 사제관계 등 인간관계도 포함됐다.

배 교수는 끝으로 “양적 지표는 기획처장을 1년 하면 대충 나오고 컨설팅업체도 다 알려준다. 돈으로 해결되는 것이다. 하지만 대학의 문화와 철학은 한순간에 쉽게 바꿀 수 없다. 효과적인 교육과정을 운영하며 학습생활공동체를 추구하는 대학이다. 이에 대한 관리가 데이터를 기반으로 지속적으로 이뤄질 필요가 있는 것도 물론이다. 실제로 그런 시스템이 굳어진다면 ACE사업을 꼭 따낼 필요도 없을 것”이라 말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