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에 걸쳐 61개 선정해 육성·관리

[한국대학신문 이한빛 기자] 정부의 신 직업 발굴은 지난 2013년부터 창조경제 실현과 새로운 일자리 창출 지원을 위해 도입했다. 외국의 직업을 분석해 국내 도입이 필요한 100여개의 직업을 발굴했다.

정부는 2014년 44개 신 직업을 1차로 발표한 데 이어 지난해 12월 2차로 17개 신 직업의 육성방안을 발표했다.

2014년 발표된 1차 신 직업은 정부 육성 신 직업 26개와 민간 자생적 신 직업 15개, 중장기 검토과제 3개로 나눠진다.

그중 정부 육성 신 직업은 목적이나 특성에 따라 크게 4가지로 분류한다. 첫 번째는 규제를 완화해 직업 창출과 고용을 촉진하는 새로운 제도나 법률 개정이 필요한 직업이다. 여기에는 민간조사원, 일명 사립탐정이 포함된다. 또한 퇴직 예정자들에게 제2의 직업을 추천하는 전직지원 전문가와 산림치유지도사가 속한다.

기존 직업을 세분화·전문화한 직업이 두 번째다. 연구실 안전전문가·협동조합 코디네이터·소셜미디어 전문가·주거 복지사 등 모두 11개 직업이 포함된다. 자격 종목과 교육과정 신설 등을 통해 민간시장에서 전문가를 인증하고 새로운 인력을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과학기술 연구개발(R&D) 투자와 전문가를 양성하는 직업은 인공지능 프로그램을 구현하는 인공지능전문가와 빅데이터를 수집·저장·분석하는 빅데이터 전문가, 건축 작업 시 컴퓨터를 통해 시설물의 모든 정보를 3차원으로 구현하는 BIM 전문가 등 7개의 직업이 포함된다.

마지막은 공공서비스를 제공하는 직업이다. 임신출산육아전문가, 정신건강 상담전문가, 과학 커뮤니테이터 등 5개 직업이 해당된다. 이 직업들은 공공부문 위주로 도입·육성해 중장기적으로 민간부문에 도입하는 것을 추진하고 있다.

민간의 자생적 수요 창출이 필요한 직업에는 노년플래너, 기업프로파일러, 생활코치 등 실생활에 연관된 직업들이 속해있다.

중장기적인 육성과 지원이 필요한 중장기 검토과제에는 동물간호사와 분쟁조정사, 디지털 장의사가 포함됐다. 디지털 장의사는 고객 또는 유족의 인터넷 상의 흔적을 삭제하는 역할을 맡는다.

정부는 1차로 발표한 44개의 신 직업의 정착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민·관 합동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해 점검하고 있다. 현재 26개의 정부 육성 신 직업 중 23개가 정상적으로 추진 중이다. 민간 자생적 신 직업은 15개 중 8개가 정착을 진행되고 있다.

2차 신 직업은 정부 육성 신 직업 13개와 민간 자생적 창출 신 직업 4개로 나눠진다. 정부 육성 신 직업은 전문 직업으로 정착 유도하는 직업 6개와 공공서비스 제공을 통해 시장수요를 형성하고 인프라를 구축하는 직업 6개, 중장기적 검토과제 1개 등으로 구분된다.

전문 직업 정착 유도 직업에는 기업재난관리자, 의약품 규제과학전문가 등이 포함됐다. 공공부분을 중심으로 하는 시장수요 형성 직업에는 미디어콘텐츠크리에이터, 직무능력 평가사, 3D 프린팅 매니저 등이 속해 민간의 직업창출을 유도하고 있다.

중장기적 검토과제에는 문신을 시술하는 타투이스트가 포함된다. 타투이스트에 대한 연구와 이해당사자들과의 논의를 통해 새 직업으로 제도화 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민간시장 자생적 창출 신 직업에는 P2P대출전문가, 의료관광경영상담사, 크루즈승무원 등 4개의 직업이 속해있다. 자생적 창출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고 정보제공을 통해 직업의 정착과 확산을 지원할 예정이다.

정부는 신직업의 육성을 추진하고 추진 실적을 점검함으로써 신 직업의 시장 정착을 도울 방침이다. 또한 국민의 관심을 끌도록 홍보하고 신 직업을 지속적으로 발굴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