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수준의 대학원중심대학과 지역우수대학 육성 등을 골자로 한 교육부의 `두뇌한국 21(Brain Korea 21)'사업 계획이 발표되면서 그간 추이를 지켜보던 대학가에 논란이 재현되는가 하면 위치 선점을 위한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다. <관련 기사 2, 3면>

서울대와 한국과학기술원 등 일부 대학에 대한 중점 지원설이 나돌고 있는 가운데 고려대와 연세 대, 이화여대 등 주요 사립대는 학제 개편이나 학위 과정 통합 등 사실상 대학원 중심 대학으로의 전환을 위해 정지 작업에 돌입했으며 첨단분야 중점 지원 육성에 반대해온 인문학계열 교수들의 목소리도 새삼 커지고 있다. 경북대와 부산대, 전남대 등 지방 국립대도 대학원 중심대학이나 지역 우수 대학 선정에 대비, 대학간 또는 산학간 연계 움직임을 구체화하고 있다.

이밖에 경희대, 성균관대, 한양대 등은 일부 특성화 분야에 대한 중점 육성 의지를 천명하고 있고 서강대, 숭실대 등은 외국대학과의 교류나 대학간, 산학간 컨소시엄 등을 통해 지분을 보장받겠다 는 분위기.

`두뇌한국 21'사업은 정보기술, 생명공학 등 첨단 응용분야의 고등 인력 양성과 한의학, 디자인, 한국학 등 인문·사회 분야 지원을 포함한 대학원 중심대학 육성 사업과 지역 연계 우수대학 육 성 사업 등 대규모 지원 사업을 중심 축으로 하고 있지만 이학, 공학, 예체능 등 특정 학문분야별 경쟁력 제고 차원의 중규모 지원 사업과 개인과 10명 이내 집단의 학술 연구 조성과 연구비 지원차원의 소규모 지원사업 등을 포괄한다.

이에따라 교육계 일각에서는 서울대와 포항공대, 과학기술대 등 대학 자체를 연구중심 대학으로 개편할 수 있는 대학들과 비교우위에 있는 일부 사립대의 경우 1∼3개 분야가 지원 대상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으며, 지방의 경우 대학원 중심대학에서 제외된 5-6개 대학이 지역거점 우수대학에 선정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경쟁력이 약한 대학도 유능한 교수와 프로젝 트를 중심으로 대학간 컨소시엄이 활성화돼 결국 정부 재정지원 혜택을 받는 대학은 최소 20여개 내외에 이를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한편 교육부는 이달 중 국내·외 과학기술자와 민간기업가, 외국인 석학 등으로 '두뇌한국 21 사 업단’을 구성, 분야별 지원대상을 선정, 공모하고 6월중 지원 대학을 평가, 선정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