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인공지능 컴퓨터 알파고와 이세돌 9단의 대국으로 많은 사람들이 인공지능이 현재 상당한 수준의 학습능력과 판단능력을 지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회학자들은 2030년에 이르면 완벽한 수준의 자율주행 자동차와 휴머노이드 로봇이 출현하는 반면 현재의 일자리 중 약 절반이 사라질 것으로 예견하고 있다. 그때가 되면 지금 학교에서 가르치는 지식과 기술들 대부분이 쓸모없어질 것이다. 미래에도 대학 교육은 필요할까? 존재한다면 무얼 가르쳐야 하나? 그 누구도 직업교육의 미래에 확실한 해답을 제시할 수는 없다.
요즘 기업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현장에 답이 있다”는 말을 자주 듣게 된다. 허나 정부기관이나 자문하는 이들 중 과연 직업교육의 현장을 살피고 미래로 가는 길을 아는 이가 얼마나 있는가? 정권이 바뀔 때마다 소위 전문가라 하는 이들이 교육정책을 내놓고 계량화된 평가로 지원사업의 성공 여부를 판단하나, 교육이 그런 성과만으로 발전할 수 있다는 시각에 의아할 따름이다. 대학의 위기가 이미 닥쳤지만 그렇다고 현장과 괴리된 교육정책을 전적으로 수용하여 설익은 교육을 할 수는 없지 않은가?

일선 교육현장의 책임자로서 새로이 시도되는 NCS 기반 교육과정에 대한 교수들의 여러 고충을 접한다. 근본적인 이유로 생각되는 것은 과도한 강의시수와 교수 1인당 30~40명에 이르는 과다한 학생 수에 있다고 보아진다. 캐나다의 경우 실습교과목에서 교수 1인이 학생 15명을 전담하고, 이를 초과 시 보조 교수가 지원을 한다.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 교육여건의 개선이 시급한 문제이나 장기간 등록금 동결로 인해 이를 실천할 수 있는 대학은 극소수이다. 불경기로 등록금 인상이 곤란하다면 적어도 국가장학금 제 2유형과 각종 평가에서 반영되는 교비장학금 기준을 교비예산의 5% 정도로 한정하고, 교비장학금 중 일부를 교육운영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교육여건개선을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진국제도를 제대로 도입하려면 교육여건도 선진국기준으로 개선되어야 한다. 이제는 숫자로 나타나는 성과주의적 교육정책이 아닌 제4차 산업혁명시대에 걸 맞는 직업교육의 길을 고민하자.

<한국대학신문>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