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수요 신중한 예측 필요…자동차, 바이오 등 특성화 분야 살린 대학도

[한국대학신문 대학팀]지난달 31일 접수 마감된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프라임) 사업에 신청한 대학 다수가 신설 단과대학과 학부 등을 통해 임팩트를 더하는 가운데, ‘산업수요’가 많은 분야 중에서도 특정 분야에 쏠림현상을 보이고 있다.

1일 본지가  프라임 사업에 지원한 대학들의 학과 신설계획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최근 인공지능 열풍을 감안하듯 소프트웨어, 사물인터넷(IoT) 등 ICT 계열을 늘리겠다는 계획을 내놓은 대학들이 압도적으로 많다.

대형에서 가장 많은 정원을 이동시키는  가천대는 550명 규모의 ‘테크네 융합대학’을 신설하기로 했다. 구체적으로 테크네 융합학부 내에는 △스마트 그리드 △스마트 자동차 △스마트 홈 △스마트 헬스케어 △핀테크 △컬쳐테크놀로지 등 6개 전공을 포함하기로 하고 이 단과대학이 쓸 수 있는 대규모 건물을 새로 건립한다는 계획이다.

동의대는 540명 규모의 ‘IT융합부품소재공과대학’을 내세웠다. 이미 공과대학이 2군데 있지만 10개 학과를 추가 신설하는 게 골자다. 이 단과대학이 설립되면 동의대의 공과계열 비중은 33%에서 46%로 늘어날 전망이다.

한양대 에리카캠퍼스는 ‘소프트웨어융합대학’을 신설하기로 하고 교수들은 물론 학생총회 78%의 동의를 얻는 데 성공했다. 이 대학의 한 보직교수는 “공과대학에 있던 컴퓨터공학과를 신설대학으로 옮기고, 소프트학부전공, ICT글로벌학부에서 소프트웨어 중심의 IT+미디어 콘텐츠 인재를 양성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건국대는 ICT기반의 ‘융합과학기술원’을 300명 규모로, 180명 이동 예정인 소형 대진대는 휴먼IT공과대학을 신설하기로 했다. 경기대 역시 IT 기반의 ‘융합공과대학’을 148명 규모로 신설할 계획이다. 국민대는 47명 규모의 소프트웨어 융합대학 신설과 함께 45명 규모의 창의공과대 등을 마련해 공학계열을 전반적으로 강화했다.

기존 단과대학을 유지하더라도 대형의 조선대는 전자정보공과대학에 산업연계특성화 학과를 약 200명 규모로, 소형의 경북대는 IT대학에 100명 규모의 ‘글로벌 소프트웨어 융합전공학부’를 신설할 계획이다. 한세대 역시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가 IoT(사물인터넷)에 방점을 찍은 만큼 IoT 학과를 신설하기로 했다.

차세대 자동차도 이번 프라임 사업에서 자주 눈에 띈다. 모집단위 27%가량을 조정하는 광주대의 주력분야는 자동차다. 기존 공과대학에 IT 자동차 관련 4개 학과를 대폭 증원하기로 했다. 소형에서 경일대는 400명 규모의 자동차대학을 신설하기로 했고, 호남대 역시 미래자동차공학부를 신설해 호남지역 전략 사업인 친환경 자동차 관련 인력을 양성하겠다는 포부를 내비쳤다.

에너지와 바이오 분야도 미래를 대비한 학과로 프라임 사업에서 인기가 높은 편이다. 소형에 도전하는 성균관대는 융합생명공학과와 나노에너지공학과를 신설할 계획이다. 이화여대 역시 의학, 생명, 기계, 인공지능 등을 융합해 ‘휴먼기계바이오공학부’를 신설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동신대 역시 에너지 관련 단과대학을 신설하기로 하고 오랫동안 프라임 사업을 준비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바이오 분야에 특성화 된 대구한의대는 이번 소형 사업을 준비하면서 대규모의 화장품 공학부인 ‘코스메티컬 바이오 학부’를 신설한다. 의료분야에 특성화 된 가톨릭관동대, 인제대 역시 각각 의료융합과학부, 의생명헬스케어 학과를 신설할 예정이다.

지역산업 특성에 맞춰 독특한 변화를 꾀한 대학들도 있다. 지역중심국립대로서 입학정원 11.5%르해 대형에 지원하는 안동대는 농업 기반의 경북지역에 맞춰 농학과 공학의 융합 신설학과를 2개 마련해 지역을 살리는 데 힘써보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또한 소형의 한남대는 계룡대와 가까워 특성화된 국방 분야를 더 끌어올릴 계획이다. 한남대는 ‘국방융합산업대학’을 신설해 국방 관련 생산시스템공학과, 스마트전기에너지공학과, 테이터응용공학과를 신설 운영하기로 했다. 한국교통대는 자동차IT융합공학부, 기계항공공학부, 교통소재공학과, 교통공간융합학과 등이 포함된 스마트 교통대학을 신설할 예정이다.

프라임 사업 평가위원들은 70개에 달하는 지원 대학들에 대한 서면-현장평가를 이달 안에 마쳐야 한다. 이를 두고 대학가에서는 각 대학의 사업 정합성과 의지를 내실 있게 평가할 수 있을지, 국가와 지역 산업 수요를 제대로 예측해 대학을 선정할 수 있을지 대학가에서는 의문을 표하고 있다.

프라임 사업 대형을 신청한 사립대의 IT관련 학과 교수는 “현재 정부에서도 소프트웨어 중심대학 등을 선정하고 있는데 프라임 사업까지 특정 산업에 몰리게 된다면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며 “5년~10년 뒤 해당 분야가 초과공급이 되지는 않을지 평가위원과 교육부 차원에서도 신중히 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제언했다.

수도권의 한 중소사립대 관계자는 “교육부 재정지원사업에서는 선정되는 대학들이 다시 선정되는 쏠림현상이 심각하다”며 “이번 프라임 사업에서도 대형 대학들이 인원 수 조정규모는 크지만 비중은 적은 편이다. 사업 취지와 상관 없이 소형 대학이 불리하지 않을지 걱정이 앞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