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대학신문 송보배 기자] 총선에서 청년이 사라졌다.

새누리당은 20대 총선에서 당선안정권 내 청년비례대표를 단 두 명 공천했다. 19대 총선에서 5명의 청년비례대표가 국회 입성한 것에 비하면 실망스러운 결과다. 노동개혁에 찬성해온 후보가 과연 청년을 대변할 수 있는가에 대한 의견도 분분하다. 더불어민주당은 청년비례대표가 한 명도 나오지 않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16번에 청년비례대표 정은혜 후보를 공천했으나, 당선안정권이 15번 내외란 예측이 나오기 때문이다.

정책도 마찬가지다. 정당의 청년정책이 재탕공약 일색에 질적으로 떨어진다는 지적이 나온다. 새누리당이 국토교통부의 ‘행복주택 14만호 공급’ 등 정부시책을 공약으로 내놓은 것은 그 단적인 예다. 최근 청년단체인 매니페스토청년협동조합은 각 정당의 청년정책을 대상으로 공감도, 시급성, 효율성, 현실성 등을 평가한 결과 100점 만점에 평균점수 51.1점을 기록했다는 암울한 결과를 발표하기도 했다. 낙제 점수다. 특히 여당인 새누리당의 ‘벤처장학제도’가 27.2점으로 최하로 평가됐다.

정치권 어디나 ‘청년’이란 구호는 넘치지만 정작 행보는 청년에 대한 무성의의 극치를 보여주고 있다. 스스로 청년 구호가 ‘립 서비스’에 불과했음을 시인하는 꼴이다.

최대 유권자가 고령층으로 굳어가면서 ‘표도 안 나오는’ 청년을 위한 정치는 점점 실종되고 있다. 5060세대 유권자가 2030세대 유권자보다 300만명이 많다는 통계 결과는 청년정치의 미래를 더욱 어둡게 한다.

정치권의 청년세대 외면은 돌이킬 수 없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1994년 이탈리아 총리를 지낸 베를루스코니는 2001년 노후연금수령액 인상을 공약으로 내걸고 총리 자리에 다시 올랐다. 고령층의 몰표로 총선에서는 승리했지만 미래세대의 희생을 담보한 연금수령액 인상은 결국 2011년 1조9000억 달러의 이탈리아 재정적자로 이어졌다.

박종훈 경제전문기자는 책 ‘지상 최대의 경제사기극, 세대전쟁’을 통해 “미래경제를 위한 가장 강력한 투자인 청년복지 정책을 포기한다면, 한국 경제는 일본의 20년 장기불황보다도 더 어두운 시절을 보내게 될 것”이라고 경고한 바 있다.

정치권이 청년의 목소리를 새겨들어야 할 이유다. 청년들이 살 수 없는 나라에는 희망이 없다. 그럼에도 청년들의 목소리는 현재 정치권의 단순한 구호로 이용되거나 심지어 세대이기주의로 매도되는 지경이다. 12.5%의 살인적인 실업률, 세대 중 유일한 소득률 감소에 시달리는 청년들에 대한 대답이 청년비례대표 배제, 재탕정책이라면 어느 청년이 이 나라에서 희망을 볼 수 있을까.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