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차별적 산학협력 지원 문제 지적…대학 스스로 극복할 자구책도 제시

▲ ‘UCN 프레지던트 서밋 2016’ 21일 3차 콘퍼런스에 참가한 총장들이 발표자 발언을 경청하고 있다. 사진 = 한명섭 기자.

[한국대학신문 송보배·공현정 기자]남중수 대림대학교 총장은 21일 경주 호텔현대에서 열린 ‘UCN 프레지던트 서밋 2016’에서 전문대학이 처한 열악한 산학협력 현실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정부 지원과 대학마다 특화한 협력 모델을 제시했다.

이날 자리를 함께 하지 못한 남 총장은 ‘산학협력 유형연구와 파트너십 제고방안’을 주제로한 토론과 관련 사전제출한 자료를 통해 전문대학이 처한 산학협력 현실을 꼬집었다. 그는 “전문대학 산학협력단의 수익규모는 일반대학보다 매우 취약한 게 사실”이라면서 “일반대학은 전문대학보다 연구수익 30배, 교육수익 1.3배 이상을 누리고 있다”고 밝혔다.

지원 정책 자체가 일반대학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 문제라는 지적이다. 남 총장은 “전문대학은 지원예산 규모 자체가 적을 뿐 아니라 정부나 민간 지원 정책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 자체가 제한돼 있다”며 전문대학 산학협력이 갖는 태생적 한계를 지적했다. 전문대학은 열악한 여건에서도 취업률 등 정량 지표에서 지속적 성과를 보이고 있지만 여전히 저평가되고 있는 현실을 문제로 제기했다.

이같은 현실을 바꾸기 위한 방안으로 남 총장은 정부 지원 방식이 바뀌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전문대학도 일반대학과 차별 없이 정책을 지원 받아야 한다”면서 관련 예산을 늘리는 건 물론 사업 참여기회를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문대학 스스로 극복해야 할 과제를 내놓기도 했다. 남 총장은 “각 대학별 실정에 부합하는 특화된 산학협력 모델을 디자인해야 한다”면서 “산학협력 참여기업에 인센티브를 주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산학협력 마일리지 제도 활성화가 그 예”라고 제시했다.

그러면서 “전문대학은 그동안 산학협력 분야에서 강점을 키워왔다. 기업과 대학이 파트너십으로 연계한 새로운 전문대학 지원을 위한 사업을 설계해야 한다”고 했다. 특히 R&D 중심의 일반대학과 달리 기업 현장 애로기술 해소, 직업교육 연계 인재수급 중심으로 산학협력을 특성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남 총장은 대학과 기업 상생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그는 “정량적 성과뿐 아니라 질적 내실화를 지향하는 새로운 유형의 산학협력 방안이 나와야 한다”면서 “기업은 매출 상승 등 기업경쟁력을 살리고 전문대학은 적합한 인재를 양성, 대학취업률 제고 목표를 달성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