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C 같은 국고사업은 4년제 대학보다 고등직업교육기관인 우리 전문대학들이 더 나서서 따냈어야 하는데 그러지 못했던 것 아닌가.”

21일 경주에 모인 27명의 전문대학 총장들은 본지 프레지던트 서밋 2016’ 전문대학 산학협력 관련 주제 토론에서 열변을 토했다. 특히 한 전문대학 총장은 현재 정부의 산학협력 정책이 4년제 대학에 맞춰져 있다는 점을 언급하며 이 같은 아쉬움을 토로했다.

이날 총장들이 산학협력을 논하는 모습은 4년제 대학들의 그것과는 달랐다. 지난해 건양대에서 열린 서밋 산학협력 관련 콘퍼런스에 참석한 4년제 대학 총장들은 산학협력을 통해 재정난을 해결해보자는 메시지에 초점을 맞춘 바 있다.

그러나 전문대학 총장들은 산학협력은 곧 생존 문제라고 여기고 있었다. 단순히 대학의 재정, 교육의 질에 도움이 되는 것을 넘어 생존에 필수적인 동력이라는 데 공감했다. 산학협력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학들은 애로점을 호소하고, 성과가 있었던 대학들은 노하우를 거리낌 없이 꺼내놓았다.

현장실습 위주의 산학협력은 전문대학부터 확산될 수 있도록 정책적으로 지원해야 한다는 총장들의 주장은 일리가 있다. 그동안 정부의 산학협력 정책에서 전문대학은 소외되기 일쑤였다.

올해 LINC 사업 예산만 보더라도 2435억원 중 일반대학은 2240억원을 차지하고 있지만 전문대학 예산은 10%에도 미치지 못하는 195억원을 나눠 쓰는 형편이니 말이다. 유니테크 사업 역시 연 320억원을 16개 사업단만 선정해 지원하고 있다.

지난 12일 정부가 처음으로 내놓은 산학협력 중기 계획안, 산학협력 5개년 계획에는 아무리 읽어봐도 전문대학 맞춤형 계획은 찾아볼 수 없다. 외국인유학생 현장실습과 창업교육을 지원한다는 내용이 추가되기는 했지만 Post-LINC 사업에서 4년제 대학 10, 전문대학 6곳을 선정하겠다는 내용이 전부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일반대학들은 R&D와 기술이전 등을 중심으로 산학협력을 이끌어가는 반면 전문대학들은 특화된 산학협력 방안을 찾고 각자 대학의 강점을 살려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는 초기 단계를 벗어나기 위해 발버둥 치는 실정이다.

전문대학은 특히 중소기업과의 공조가 가능하며 더욱 현실성이 있다. 침체된 경제를 살리고 높은 청년 실업률을 해소하기 위한 키워드는 의외로 전문대학에 있을 수 있다. 제대로 지원해 모든 중소기업이 실질적으로 전문대학과 부단히 공조한다면 전문대학들은 독일, 스웨덴에서와 같은 선진 직업교육기관으로서의 역할을 해낼 수 있을 것이다.

정부는 프라임 사업, 코어 사업 등을 통해 일반대학 위주로 직업인을 양성하는 데 거액의 예산을 쏟아붓고 있다. 물론 학문중심 교육을 받은 인재들을 키우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왕 구조개혁을 할 거라면 대학의 기능을 분명히 분리하는 것이 우선이다. 국가의 뿌리 역할을 할 수 있는 전문 직업인들을 키워낼 것이라면 전문대학을 끌어올려야 한다. 그것이야말로 박근혜 정부의 능력중심사회 구현기조와도 맞아떨어진다.

교육부가 추진 중인 사회맞춤형 학과 사업 역시 이 같은 관점에서 접근해야 할 것이다. 유례없이 높은 액수의 전문대학 사업으로 추진 중인 만큼 전문대학과 중소기업이 긴밀히 공조해 윈윈할 수 있는 방향으로 설계되고 지원돼야 할 것이다.

산학협력에 대한 근본적인 인식전환이 절실한 때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