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들 "지원도 없이, 어떻게 해야 되나" 고민

정부 각종 재정지원 사업에 자유학기제 참여 가산점 부여
학과 체험형 약 67%쏠려…예산·중학생 눈높이 맞추기 원인
교육부-대학간 MOU 체결 계속… "대학이 가진 인적·물적자원 공유해야"

[한국대학신문 김소연·천주연 기자] 교육부가 대학과 자유학기제 지원을 위한 MOU를 맺고 있는 가운데 대학들은 정작 자유학기제를 위한 준비가 부족하다는 반응이다. 게다가 교육부가 각종 재정지원 사업과 자유학기제 지원업무를 연계하면서 대학들은 상당한 압박을 느끼는 모양새다. 또 프로그램도 미비해 고심하고 있다.

 자유학기제는 박근혜정부의 핵심 교육공약으로 학생들이 중학교 한 학기 동안만이라도 시험 부담 없이 진로탐색 기회를 가져야 한다는 취지에서 마련된 정책이다. 올해 자유학기제가 전 중학교에서 전면 시행되면서 교육부는 지난 3월부터 서울대를 시작으로 고려대, 포항공대, 서울총장포럼 소속 27개 대학 등 35개 대학과 업무협약을 맺고 이를 지원토록 하고 있다.

전문대학들도 각 지역 교육지원청과 자유학기 진로체험에 관한 업무협약을 체결하면서 속속 자유학기제 지원에 동참하고 있다.

 재정지원 사업에 자유학기제 지원 여부 가산점 포함대학들 '불만' = 대학들은 우선 정부가 각종 재정지원사업에 자유학기제 참여하는 대학에 가산점을 부여하는 것에 대해 크게 압박감을 느끼고 있다.

 2016년도 대학 특성화사업(CK) 중간평가 추진계획에 따르면 자유학기제에 참여하는 대학은 가산점 2점을 받게 된다. 또 지난 4월 교육부가 발표한 여성공학인재 양성 사업(WE-UP)’ 기본 계획에도 자유학기제에 참여하는 대학에 가산점 3점을 부여하는 것으로 나와 있다.

 수도권 A 대학 관계자는 정부에서 지원도 안 해주면서 무조건 자유학기제가 정부 정책과제란 이유로 대학들의 참여를 유도하고 있다면고 불만을 표했다.

대학들은 자유학기제의 취지에는 공감을 하면서도 자유학기제 지원 업무에 상당한 부담을 느끼고 있다. 또 어떤 프로그램을 준비해 진행해야 할지 난감한 표정이다.

 서울 B대학 입학팀 관계자는 대학에서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은 전공 체험이 전부다. 프로그램이 다양하진 않은 상황이라면서 아직 시작한지 얼마 되지 않아 구체적으로 예산이나 프로그램 계획도 정해지지 않았다. 대학에서 쉽게 자유학기제를 지원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수도권 C 대학 입학홍보팀 관계자도 주변 중학교에서 학교에 요청이 많이 들어온다면서 “150명에서 200명 가까이 많은 인원을 한 번에 수용할 공간이 부족하기도 하고, 소규모 랩(lab)실에서 학생들을 순차적으로 체험하게 하기도 어렵다고 털어놨다.

 이어 전공 체험 같은 경우 교수들이 중학생을 상대로 어떤 진로 교육을 해줄 수 있을지, 어떻게 다뤄야 할지 난감해 한다면서 그런데도 교육부에서 지원해 주는 부분은 거의 없다고 꼬집었다.

 학과 체험에 국한된 프로그램전문대 교수들도 난감’ = 전문대학도 예외가 아니다. 지난달 6일 전문대교협이 발표한 전문대학 자유학기제 운영 실적 및 계획에 따르면 자유학기제 프로그램 10개 중 6개 이상이 학과 체험형 프로그램에 국한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904개 프로그램 중 학과 체험형이 603개로 약 67%를 차지했다. 강연, 진로캠프, 현장 견학 등 프로그램 비율은 미비했다.

 A 전문대학 관계자는 대학에 와서 중학생 눈높이에 맞춰달라고 하니 어려운 부분이 있다. 교수들조차 한 번도 중학생을 가르쳐본 적 없어 힘들어 한다면서 결국 제과·제빵과의 빵 만들기등 중학생들이 흥미를 가질만한 학과 실습체험 위주로 프로그램을 짤 수밖에 없다고 토로했다.

  직업 탐색, 전공 체험 등 체험프로그램이 주를 이루면서 예산에 대한 불평의 목소리도 나왔다. 정부에서 자유학기제 지원을 대학에 요구하면서도 해당 프로그램을 위한 예산은 구체적으로 지정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B 전문대학 입학 관계자는 자유학기제를 위한 예산을 따로 받은 적은 없다면서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 강사 초청 등을 하려면 재정 지원이 필수적이다. 교육부에서 전문대학 특성화사업에서 일부 예산을 쓸 수 있도록 한다고 하지만 현재는 교비로 충당하고 있다고 말했다.

  중학교 일정과 대학 학사 일정을 맞추기도 곤란하다는 불만도 있다. 학생 수업에 지장을 초래하면서까지 중학생들을 받아 자유학기제를 지원할 순 없고, 학생들도 불만을 느낀다는 것이다.

  이에 교육부는 자유학기제의 취지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는 입장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직업 체험이 어려운 도서벽지의 중학생들을 위해 우수 인력을 가진 대학에서 특성에 따라 전공을 소개하는 등 기여할 부분이 있다면서 대학에는 고교교육정상화 지원사업에서 예산을 일부 쓸 수 있도록 했고, 전문대학의 경우 특성화 전문대학 육성사업에서 일부 사용할 수 있도록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