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금 한 대학당 3000만 원 수준…"최소 1억 원은 지원해줘야"

[한국대학신문 천주연 기자] 전문대학의 비교과 입학전형에 대한 정부의 재정지원이 일반대학 입학사정관제와 비교해 턱없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대학 관계자들은 비교과 입학전형을 점차 확대 운영해 중도탈락률이 줄어드는 등의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면서 이에 대한 정부의 행·재정지원이 늘어나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최근 3년간 전문대학의 비교과 입학전형 운영 현황을 살펴보면 △2015학년도 15개 대학 119개 학과 1313명 △2016학년도 21개 대학 173개 학과 1845명 △2017학년도 38개 대학 333개 학과 5464명 등으로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학령인구가 줄어들고 있는 이 시점에서 전문대학의 정체성을 살리고 경쟁력 있는 입시를 위해서는 기존의 교과성적에 따른 줄세우기식의 선발 방식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됐다. 이에 학과별 특성과 학생의 소양, 능력, 적성, 잠재적 창의성, 성장가능성, 학업·취업 적응성 등을 평가해 선발하는 방식으로 점차 변화하고 있다.

실제로 이들 대학은 수능, 내신 등의 성적이 아닌 출결, 봉사, 면접, 실기 등 비교과적인 요소를 반영해 신입생을 선발한다. 일부 대학에서는 면접에 산업체 인사가 직접 면접관으로 참여해 산업현장에서 필요한 소질과 적성 등을 갖췄는지 평가하기도 한다. 전공 적합성 검사, 적성 검사 등도 이뤄진다.

이렇게 선발된 학생들은 대체적으로 학과 만족도와 적응도가 높고 중도탈락률이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2014년 기준 신입생 중도탈락률은 비교과 입학전형 평균 0.6%로 전문대학 전체 평균 1.4%의 절반 수준으로 나타났다. 합격 후 포기하는 비율도 전체 평균 57%에 비해 비교과 입학전형 평균은 21.5%로 현저히 낮았다.

이종엽 한국전문대학 교무입학처장협의회장(대전과학기술대학 교무처장)은 “단순히 성적에 맞춰서 오는 게 아니라 해당 학과에 얼마나 더 관심을 갖고 있고 적성이 맞는지를 보고 선발하기 때문에 일반전형으로 뽑은 학생들보다 비교과 전형으로 선발된 학생들의 중도탈락률이 낮은 편”이라고 밝혔다.

김동욱 구미대학 기획행정처장도 “이 분야는 내가 관심 있고 자신 있다 해서 지원한 애들이다 보니까 학습 집중도가 높다”면서 “이들 학생은 확실히 다른 학생에 비해 학과 소속감이나 애교심 등이 강하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비교과 입학전형의 가시적인 성과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정부의 재정지원은 10개 대학에 3억 원을 지원해주는 것이 전부다. 한 대학당 평균 3000만 원 가량 지원받는 셈이다. 이마저도 이 사업이 처음 시작됐던 지난 2013년부터 현재까지 지원 대학 수, 지원 금액이 동일해 답보상태를 면치 못하고 있다.

이는 일반대학의 입학사정관제 지원 등이 포함된 고교교육 정상화 기여대학 지원 사업비와 비교해 상당히 적은 수준일 뿐만 아니라 실제 사업을 운영하는 데도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오병진 전문대교협 학사지원부장은 “일반대학에서는 고교교육 정상화 기여대학 지원사업이라 해서 입학사정관제, 자유학기제 등에 사용할 수 있게끔 500억 원 넘게 대폭 지원받고 있다”면서 “전문대학의 경우 비교과 입학전형 지원 관련해서는 입시 관련 다른 사업들과 묶여 3억 원밖에 지원을 못 받고 있는 실정”이라고 토로했다.

지난 3년간 해당 사업에 선정, 참여했던 A 전문대학 관계자는 “우리대학의 경우 실제 사업을 운영하는 데 들어간 비용이 최소 7000~8000만 원 정도였다. 지원금 3000만 원에서 초과된 금액은 모두 교비로 충당했다”면서 “최소 한 대학당 1억 원 정도는 지원해줘야 이 사업이 제대로 운영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B 전문대학 관계자도 “비교과 입학전형을 하게 되면 서류평가, 면접, 실기 등을 하게 돼 일반전형보다 전형 개발, 운영 등에서 행·재정적인 비용이 많이 든다”면서 “이러한 비용을 교비에서 지출해야 하는 구조로는 더 많은 대학으로 확대시키기에 분명 한계가 있다”고 꼬집었다.

이에 대해 교육부는 필요성은 충분히 공감하지만 예산 확보가 쉽지 않다는 설명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전문대학에 비교과 입학전형을 확대해야 하고 지원 대학 수와 지원액수를 늘려야 한다는 필요성에 대해서는 충분히 인식하고 있다”면서도 “전문대학 자율역량기반조성사업 속에 비교과 입학전형 활성화 지원사업이 포함돼 전체적으로 예산이 연동되고 있어 이 부분만 늘리기에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