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부처별로 나뉜 전문대학 지원정책 보완도 촉구

[한국대학신문 이재 기자] 국제화 시대를 맞아 전문대학의 해외진출을 위해 국제화 역량평가를 시행하고 전문대학에 대한 지원이 더욱 확대돼야 한다는 주장이다.

박명호 계명문화대학교 총장은 9일 서울 장충동 서울클럽에서 ‘전문대학의 글로벌 전략’을 주제로 열린 ‘UCN프레지던트 서밋 2016’ 6차 콘퍼런스에서 토론회 첫 토론자로 나서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 지원과 예산 지원을 전제로 전문대학의 국제화 역량 평가에 대한 합리적인 평가지표의 개발과 실행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 총장은 이날 해외출장으로 서밋에 참가하지 못해 ‘국제화시대 전문대학의 해외진출 방안과 제도적 지원’ 토론문을 미리 보내왔다.

박 총장은 이날 정부에 적극적인 전문대학 글로벌 전략 정책 수립을 촉구했다. 박 총장은 “전문대학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는 교육부와 고용노동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정부 유관 부처별로 다양한 정책에 따라 지원되고 있으며, 교육부 내에서도 지원정책의 일관성이 부족해 혼선과 장애요인으로 작용되고 있어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또 “해외취업의 대부분은 호텔과 항공, 미용 등 서비스업정과 생산 기술직종에 집중돼 있다. 이런 직종은 일반대학보다 전문대학이 직무역량에 있어서 비교우위를 갖고 있다. 그러나 교육부 주관으로 전문대학에만 지원해오던 ‘세계로 사업’이 노동부로 이관돼 K-MOVE 사업으로 통합돼 민간해외취업 알선회사와 수주경쟁을 하면서 해외취업 프로그램을 진행해야 하는 실정이다. 이는 교육의 관점에서 접근해야하는 전문대학 해외취업지원 사업에 장애요인으로 작용한다”고 비판했다. 실제로 지난 2014년 통계자료에 따르면 일반대학 졸업자 기준 해외취업자 비율은 0.28%에 불과한 반면 전문대학은 졸업자 기준 0.42%로 우위를 차지했다.

이밖에도 박 총장은 전문대학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정부 당국의 적극적인 지원 △대학 당국의 내실 있는 프로그램 운영 △지속적인 제도개선과 규제완화 △전문대학 국제화 역량 평가 도입 △정부 차원의 해외 학점 상호인정 방안 마련 △정주형 유학생 유치 확대와 비전문취업비자 전환 △전문대학 독자적인 해외취업 프로그램 및 예산 확보 △국내·외 네트워크 통한 전략적인 협력 등을 제안했다.

특히 전문대학 내부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노력도 강조했다. 박 총장은 “현재 전국 137개 전문대학 가운데 국제협력 업무서비스를 위해 대학 내 독립적인 조직을 갖고 있는 대학은 60여개로 절반(58%)수준”이라며 “국제 프로그램의 운영과 서비스 지원을 위한 대학 내부의 규정 마련, 행정조직 개선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무엇보다 박 총장이 강조한 정주형 유학생 유치 확대는 전문대학가의 현안이다. 박 총장이 인용한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국내 산업현장에 비전문취업비자(E9)로 입국한 외국인 근로자는 지난해 4월 기준 27만 687명이다. 이들은 국내에서 4년 10개월 동안 체류가 가능한 상태로, 사실상 산업현장에서 현장인력으로 일하면서 한국의 기업문화와 현장기술, 한국어 구사능력을 습득한 실질적인 외국인 기술인력에 속한다. 박 총장은 이들을 대상으로 국내 전문대학에서 유학생비자(D2)로 전문기술교육을 시키고 특정활동취업비자(E7)로 국내 산업체에 근무하게 함으로써 국내 부족 직업군에 대한 노동인력 수급문제를 해결하고 전문대학에서는 새로운 유학생 입학자원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