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대학신문 양지원 기자]대규모 국고 지원을 약속하며 ‘전문대학 살리기’에 돌입할 것만 같던 사회맞춤형학과 활성화 방안이 일반대와 ‘나눠먹기’가 되며 전문대학가의 만감도 교차하고 있다.

당초 전문대학정책과에서 사업 기반을 마련했지만 일반대도 그 대상에 오르면서 취업창업교육지원과가 주무부서가 되고 말았다. 

이렇다보니 과연 전문대학에는 어느 정도의 예산이 배분될지 궁금증도 커지고 있다. 그동안의 정부 재정지원사업을 들여다보면 일반대와 전문대학의 예산 지원 격차는 줄어들기는 커녕 더 벌어지는 느낌이다.  

전문대학이 유난히 지원 금액 수치에 예민한 건 이 때문이다. 정부로부터 고등직업교육기관으로서의 역할을 그 정도 밖에 인정받지 못한다는 표시로 받아들여지는 탓이다.

물론 교육부는 ‘청년 취업난 해소’, ‘인력 미스매치 해소’라는 현 사회의 최대 난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 확신하며 기재부와의 협의에서 최대한의 예산을 따내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다. 전문대학에서 아쉬워하는 마음은 차치하고 주무 부처로서 소임을 다 하고 있다는 의미다.

이준식 부총리는 이 사업에 대한 예상들만 난무하던 이른 시기에 예산 규모에 대한 언급을 한 바 있다. 추후 교육부에서 오프 더 레코드를 요청해 공개하진 않았지만, 부총리가 발설한 금액 수치는 전문대학가의 기대감을 부풀리는 데 일조했다.

향후 사업 예산 발표 결과, 여타 재정지원사업이 그랬던 것처럼 일반대와 전문대학 간 금액 차가 많이 난다면, 전문대학들은 기대가 실망으로 바뀌어 상당한 후폭풍이 있을 조짐이다.

주문식 교육과정 등 산업체가 요구하는 맞춤형 인재 양성은 직업교육과 깊은 연관이 있다. 이는 전문대학의 존재 목적과도 부합한다. 이 사업이 추구하는 교육방향이 전문대학의 그것과 일치한다는 의미다.

전문대학은 교육부가 ‘박씨를 물고 온 제비’가 돼 주길 기다리고 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