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 맞아 대학의 역할 정립 강조…교육수요자의 대학교육 만족도 중요

▲ 태범석 한경대 총장이 22일 전남대 본관 대회의실에서 열린 2016 UCN 국공립대 프레지던트 3차 콘퍼런스에서 ‘미래사회 국립대 위상과 역할 강화’에 대한 주제 토론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 = 한명섭 기자)
[한국대학신문 김소연 기자] “4차 산업이 도래함에 따라 대학들이 변화에 대해 수용하고, 마음을 열고 대비를 해야 한다고 본다. 이와 더불어 국가적으로는 확고한 투자가 있어야 한다.”

태범석 한경대 총장(전국국공립대학총장협의회 회장)은 22일 전남대에서 열린 대학경쟁력네트워크 국공립대 프레지던트 서밋 3차 콘퍼런스에서 4차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대학의 변화 움직임과 더불어 변화의 속도 조절, 그에 맞는 투자가 동시에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태 총장은 “오늘 주제는 국공립대학의 변화에 대한 문제다. 대학들이 이 변화를 수용할 것인지, 속도를 조정해 나갈지는 선택의 문제”라면서 “4차 산업 혁명이 시작 되자마자 그 용어를 동시에 사용하고 있지만, 사실 모든 인류가 4차 산업에 종사할 순 없다. 4차산업 이전의 산업군에서 종사하는 사람도 있다. 이에 큰 틀에서 국가가 발전하려면 인재 양성을 위한 4차 산업 혁명에 대비해야 하지만 대학 본연의 역할도 소홀히 해선 안 된다”고 지적했다.

그는 “대학 현장에 무크가 도입되고, 가상현실을 활용한 학문이 있고 아닌 학문이 있다. 이와 같은 학문간 조절은 필요하다”면서 “어느 대학에서 어떤 것을 주력할지 역할을 정립할 필요가 있다. 4차 산업혁명이 도래했으니 어떤 학문을 포기하자의 논의는 아니”라고 설명했다. 4차 산업혁명이 도래한 상황에서 대학이 변화의 속도를 조절해 국가적·인류적으로 양성할 부분은 지켜야 한다는 목소리다.

태 총장은 현재 대학 교육의 두 가지 물결을 설명했다. 그는 “하나는 대학구조개혁, 다른 하나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살기 위한 교육 패러다임 변화”라고 제시했다.

이런 상황에서 학생 중심의 대학 평가도 함께 논의돼야 한다고 제시했다. 태 총장은 “여러 총장이 말한 것처럼 대학에 대한 평가가 지금처럼 돼서는 곤란하다. 대학에 대한 평가 주체가 정부 기관이 아닌 교육수요자인 학생이 돼야 한다. 학생이 해당 교육에 얼마나 만족하느냐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지금까지 해온 논문실적 등 정량적 평가와 더불어 (그 대학에) 잘 가르치는 교수가 얼마나 많은지도 중요하다”면서 “결국은 학생들이 판단하는 대학교육 만족도 평가가 가장 중심이 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