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령인구 감소 고려해 지역 중등교육과도 진로창업클러스트 구축해야" 제안

▲ 원윤희 서울시립대 총장이 6일 한밭대에서 열린 2016 UCN 국공립대 프레지던트 4차 콘퍼런스에서 ‘지역대학 기반의 취·창업 생태계 구축’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사진 = 한명섭 기자)

[한국대학신문 이재 기자] “도시의 창업 경쟁력과 소재 대학의 창업 경쟁력은 밀접한 연관을 갖고 있다. 지역과 지역 내 대학이 같은 목표를 갖고 협력해야 한다.”

원윤희 서울시립대 총장은 6일 한밭대 그린에너지관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대학경쟁력네트워크 국·공립대 프레지던트 서밋 4차 콘퍼런스 및 폐막식에서 ‘지역중심 대학기반의 취·창업 생태계 구축’을 주제로 발제를 맡아 이 같이 주장했다.

원윤희 총장은 “창업 전문 조사기관이 발표한 국제 스타트업 생태계 랭킹에 따르면 여전히 실리콘 밸리가 1위”라며 “평가지표는 창업기업 매출액과 벤처케피탈, 기술인력 보급경로, 창업기업의 역대 성과 등인데 이는 대학의 창업지원 평가지표와 사실상 같은 수준”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러나 국내는 각종 취업지원 정책을 펴고 있지만 실효성이 거의 없으며 사실상 좀비기업을 먹여살리는데 정부지원금이 소모되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고 꼬집었다.

실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발표한 2013년 고용장려금 중 고용유지형 예산 비중 등을 살펴보면 일자리 예산은 가파르게 증가하는데 반해 취업자 수가 느는 속도는 주춤하고 있다. 기획재정부는 2015년 일자리 예산으로 15조8000억원을 편성했으나 지난해 취업자는 33만7000명으로 전년도 53만3000명에서 크게 줄었다. 한국개발연구원(KDI)는 이 때문에 정부 일자리 정책에 구조조정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고, 196개 일자리 사업에 15조원 가량이 낭비되고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반면 창업기업들은 일자리 창출과 매출액에서 중소기업을 상회하는 실적을 보이고 있다. 중소기업청과 창업진흥원 등의 자료에 따르면 2009년부터 2013년까지 평균 일자리·매출액 증가율 가운데 창업지원 기업은 일자리 증가율 8.0%, 매출액 증가율 8.3%로 가튼 기간 중소기업의 일자리(0.8%)와 매출액(5.6%) 증가율을 크게 앞질렀다. 대기업도 같은 기간 일자리와 매출액 증가율이 각각 2.3%와 5.0%에 그쳤다. 원윤희 총장은 “국내에서도 각종 기관에서 스타트업이나 취업지원 정책을 펴고 있지만 서로 협력이나 연계가 이뤄지지 않아 효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국내에선 교육부 산학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이 대표적인 창업교육 지원 사업으로 꼽힌다. 이밖에도 고용노동부 일자리창조센터 사업, 중소기업청 창업선도대학 사업, 창업대학원·창업아카데미 등 각종 사업이 시행되고 있다.

원윤희 총장은 “대학을 대상으로 하는 사업은 대학의 역량 및 인프라를 활용하는 것이 중요 선정 요소”라며 “지역·지자체와 협업하는 형태의 사업 시행시 시너지 효과를 높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원윤희 총장은 이 때문에 중앙정부의 취·창업 전략만이 아닌 광역 혹은 기초지방자치단체와의 협력을 넓혀 상생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학령인구 감소 여파를 직접 맞닿뜨린 지역의 중등교육기관과 연계해 새로운 지역연계 진로창업 클러스터를 구성해야 한다는 제안도 내놨다.

원윤희 총장은 서울시립대의 사례를 소개하며 지역 중학교와 교육청, 서울시 등과 함께 △청년층이 모이는 촉매제 △초·중·고·대학생 대상 실천적 진로교육 내실화 △청년창업과 일자리 기회 제공을 위한 인큐베이터 △인구구조변화와 함께 주거환경 및 상업지역 여건 개선 등을 전략으로 삼아 관련 취·창업 협력공간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