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교육 패러다임 창출하는 차세대 교육기관으로 인식 전환 시급"

▲ 박창식 디지털서울문화예술대 총장은 10일 대학경쟁력네트워크 사이버대학 프레지던트 서밋 1차 콘퍼런스에 토론자로 나서 사이버대학의 발전 방안 등을 논의했다. (사진= 한명섭 기자)

[한국대학신문 김소연 기자] "그동안 사이버대학이 지원을 못받았다. 사이버대학끼리 똘똘 뭉치는 모습을 정부나 국회에 보여줄 필요가 있다. 그런 이유로 지금까지 16년 되도록 제자리 걸음을 걸어왔다고 본다."

박창식 디지털서울문화예술대학교 총장은 10일 서울 중구 프레지던트호텔에서 열린 본지 주최 대학경쟁력네트워크(UCN) 사이버대 프레지던트 서밋 1차 콘퍼런스에서 '사이버대학의 역할과 지위'를 주제로 한 토론에서 이와 같이 말했다.

박 총장은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와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전문대교협)는 각각 4년제 대학, 전문대 협의체로서 대교협법, 전문대교협법을 근거로 정부 지원을 받고 있지만 사이버대학의 협의체인 원대협은 아직 근거법이 없어 법정단체가 아닌 사단법인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때문에 온라인과 오프라인 교육 영역이 명백히 다르고, 차별성을 둬야 하는 사항이기 때문에 원대협이 법정단체로 인정받을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지난 19대 국회에서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국회의원으로 활동한 박 총장은 "국회에서 원격대학, 디지털대, 사이버대 차이점이 무엇인지 모르는 의원들이 많았다. 대학에 총장으로 오면서 느낀 점은 어찌보면 이름도 하나로 통일을 하는 방법은 어떨까 고민해봤다"면서 "원격대학, 사이버대학이라고 하면 교육기관으로서 트렌드와 맞지 않다는 느낌이 든다. 이름도 트렌드에 맞게 가야한다는 생각도 든다"고 말했다.

사이버대학의 교육 환경 변화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박 총장은 "사이버대학 출범 초기에는 수강하는 학생 중 80% 가량이 직장인이었다. 그러나 해가 거듭될수록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일반대학이 아니 사이버대학으로 진학하는 학생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면서 "사이버대학에서는 일반 대학에 비해 뒤처지는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전담 튜터제와 강제학습 프로그램, 인공지능 진도관리 등 다양한 학습 독려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고 사이버대학의 변화 지점을 설명했다.

이어 박 총장은 "사이버대학이 잘 가려면 문제되는 지점을 빨리 솎아내야 한다고 본다. 국회, 교육부와 상징적으로 토론을 할 수 있는 TF팀 같은 게 필요하다"면서 "그 안에서 외부로 이야기 할 수 있는 인물, 외부 전문가 등을 영입해서 힘을 받는 부분도 필요하다고 본다"고 의견을 제시했다. 특히 사이버대학의 목소리를 하나로 낼 필요가 있음을 강조했다.

교육의 국제화에 대해 박 총장은 "교육의 국제화라는 것이 결국 우리 교육을 글로벌 시장에 어떻게 파급시킬 것인지 고민하는 문제다. 해외에 교육영토를 확장하기 위해선 문화가 형성돼야한다. 문화영토가 확장돼야 거기에 있는 교포, 교민 2세·3세도 우리 것을 알기위해 앞장설 것으로 보인다"면서 "문화영토가 확장되면 교육이 따라오고, 그 다음에는 경제 영토도 확장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특히 박 총장은 사이버대학 총장들이 정부와 국회 등에 한 목소리로 의견을 제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정부에서는 사이버대학을 오프라인 대학과 경쟁하는 중복 교육기관이 아닌 미래교육 패러다임을 창출하는 차세대 교육기관으로 인식 전환이 시급하다"면서 "사이버대학에서는 다양한 운영모델을 발굴하는 자체적인 노력도 필요하다. 각 학교별 장점 및 강점을 특성화 시키려는 노력이 사이버대학의 발전을 위한 가장 현실적인 방안이라고 본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