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장독점 인사, 예산권 등 단과대학 위임

최근 고려대와 중앙대, 이화여대 등이 총장이 독점했던 권한과 책임을 단과대 학장에게 위임하는 분권형 학사행정을 도입해 대학 개혁의 새로운 바람을 일으키고 있다. 이들 대학들은 ‘책임경영제’를 도입,학교 행정권의 집중으로 인한 조직의 비효율과 경직성을 제거하고 단과대간 경쟁을 유도함으로써 대학전체의 발전을 꾀하고 있다. 고려대는 지난 3월 총장이 예산권과 인사권등 총장이 결정하던 많은 부분을 각 단과대학 학장에게 넘겼다. 평소 학교운영의 분권화를 역설한 어윤대 총장이 취임하고 각 단과대학별로 연구업적이나 우수학생 유치 등 목표를 설정하도록 주문한 것. 고려대는 이를 위해 경영학의 ‘목표관리제’를 대학운영에 도입했다. 어윤대 고려대 총장은 “총장이 예산권과 인사권을 독점할 경우 공간이나 예산 등의 자원이 단과대학에서 효율적으로 사용되지 못했다”며 “학장에게 권한을 넘겨 책임경영을 하도록 하면 효율적인 자원 운영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중앙대 역시 지난 2001년 제11대 박명수 총장의 취임과 함께 ?새로운 비전, 새로운 문화, 새로운 행동?을 3대 강령으로 삼아 경영관리의 패러다임을 교체했다. 총장과 대학본부가 통제하던 하향식 대학 경영에서 탈피, 각 단과대에 의사 및 예산결정 과정에서 자율적 권한을 주기로 한 것. 이를 위해 2001년부터 학장에게 교수평가권과 자율예산권 등을 위임했고 졸업식도 단과대별로 진행해오고 있다. 박명수 중앙대 총장은 “단과대별 책임경영을 도입함으로써 능력위주의 인사가 가능해졌다”면서 “매 학기 ‘학장리포트’를 통한 성과 평가로 책임경영시스템을 구축해 나가겠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중앙대는 학장리포트를 보직 임명에 반영할 뿐 아니라 연구실적에 따라 단과대별로 연구비를 달리 지급하고 있다. 학장리포트에는 △단대별 연구실적 △발전기금 모금실적 △학생 평가 △졸업인정제 이수자 현황 △산학협동 및 동문회, 학생회 활동 등이 상세히 기재된다. 이 외 이화여대는 지난해 신인령 총장의 취임에 따라 단과대학 학장에게 업무를 이양을 추진중이고 서울대도 ‘장기발전계획’에 따라 단과대학 의사결정 권한 이양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교육부 한 관계자는 “최근 교수들의 ‘교수회 법제화’ 요구 등 대학의 의사결정 권한이 분산되고 있는 추세”라며 “민주적인 절차에 의한 합리적인 권한 분산은 대학발전을 위해 바람직한 일”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