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간 격차 천차만별…눈높이 교육 필요하지만 제도 지원은 부족”

▲ 조인곤 화신사이버대 총장이 지정토론자로서 발언하고 있다.(사진=한명섭 기자)

[한국대학신문 이연희 기자]정무성 숭실사이버대 부총장의 주제발표에 이어 조인곤 화신사이버대 총장은 사이버대가 사회에 기여하는 데 제 역할을 하고 또 결실을 맺기 위해서는 정부 지원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앞서 정무성 부총장의 주제발표 내용 중 사이버대가 온라인 교육의 강점을 살려 교육영토 확장, 사회통합·교육·복지 통합 영역에서 사이버대 역할이 다양해지고 또 중요해지고 있다는 데 공감을 표했다.

그러면서도 사이버대가 이같은 중요한 역할을 충분히 다할 수 있을 것이라는 사회적 인식과 신뢰를 확보하지 못하면 오프라인 대학들이 온라인 고등교육에 뛰어들어 오히려 사이버대 위기를 가속화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조인곤 총장은 “사이버대가 제 역할을 수행하고 필요한 과제들을 실행하고 성과를 거두기 위해 선결돼야 할 과제와 전제조건이 필요하며, 그를 위한 후속연구가 소주제별로 심도 깊게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 총장은 사이버대가 사회적 기여에 참여했다가 실패했던 두 프로그램의 사례로 들어 과제를 제시했다.

조 총장은 협력대학 또는 관련 국제기구-단체 장학지원 관련 ‘글로벌 고등교육 파트너십 확대’에 대해 여러 시행착오를 언급하며 “직면했던 가장 큰 문제는 ‘비용 대비 효과성’”이라고 지적했다. 한국어 실력이 서투른 외국인 학생들을 입학시켜 졸업시키는 데 드는 비용과 노력이 내국인 학생보다 훨씬 높은데도 ‘사이버대’라는 한계로 다양한 지원제도를 이용할 수 없거나 제약이 많았다는 것이다.

또 △외국인 교수 초빙과 직원 채용을 위한 비자 발급 △외국인 학생(특히 제3국 학생들)의 방문비자 발급 △우리와 학제가 다른 외국인 학생의 입학자격 △문서의 관인이나 서명의 진위를 대조 확인 후 발급하는 ‘아포스티유’와 같은 경직된 제도 등으로 인해 해당 프로젝트를 발전시켜 나갈 때 큰 저항요인으로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복지와 고용, 교육이 더해진 통합형 자활프로그램을 통해 사이버대의 사회적 역할이 확산되던 중 다른 정책과 통폐합돼 중단됐다는 데 대한 안타까움도 표했다.

조 총장은 “대학 수학능력의 부족과 열악한 학습 환경으로 인해 성적이 기준 점수(평균 79점)에 미달되는 학생들은 국가장학 혜택을 받지 못해 중도탈락률이 높았던 것이 가장 큰 어려움이었다”며 “교육기회 균등이라는 명분으로 수급권자들에게 할당된 정원 외 인원이 극히 소수에 불과한데다 상대평가가 강제된 대학의 평가시스템 하에서 소외된 계층을 위해 마련된 국가장학제도가 일정 수준 이상의 성적을 요구한다는 것이 불공정하다고 본다”고 견해를 밝혔다.

두 프로그램의 운영 사례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가장 큰 문제로는 다양한 배경과 욕구를 가진 학생들과 학습환경이 매우 이질적이었다는 점을 꼽았다.

조 총장은 “재학생들의 기초학력, 생활환경과 문화적 배경 등이 이질적이어서 학습환경 등 학생 간의 격차가 너무 크다”면서 “다양한 수준의 학습내용을 반영한 양질의 콘텐츠 개발은 물론 학습 및 학사관리 또한 학습자의 눈높이에 맞춰 다양하게 이뤄져야 하는데, 대부분 학생들의 등록금에만 의존해야 하는 현실에서는 탈락방지라는 소극적 목표조차 달성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조 총장은 “사이버대학이 제시된 사회적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필요한 제도를 정비하고 지원을 받는 것이 어느 때보다 절실하다”며 “이를 위해 모든 사이버대학들의 결집된 노력이 필요하다”고 갈음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