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지에는 공감, 활용 가능성에는 견해차 보여

▲ 사이버대 지역학습관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학습관의 시설 공유 또는 공동운영을 논의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사진은 대구사이버대 서울학습관.

[한국대학신문 이한빛 기자] 외지 학생들을 위해 개설된 사이버대 지역학습관의 효율적인 운영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면서 일부 사이버대에서 운영하는 지역학습관 시설을 공유하거나 사이버대 차원에서 공동으로 지역학습관을 개설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사이버대 관계자들은 공동운영을 통한 시설이용 측면에서는 공감대를 형성하면서도 비용 문제와 시설 문제 등을 해결해야 하는 만큼 실현 가능성에 대해서는 관망하는 반응을 보였다.

현재 21개 사이버대 중 지역학습관을 운영하는 대학은 △경희사이버대 △글로벌사이버대 △대구사이버대 △디지털서울문화예술대 △원광디지털대 △서울사이버대 △영진사이버대 △한국복지사이버대 등 8개 대학으로, 총 24개의 지역학습관을 운영하고 있다.

지역학습관에서는 주로 전산기기와 강의실을 구축해 학생들이 직접 수업을 듣거나 특강 또는 학과 행사, 학생 활동 등에 참여할 수 있도록 공간을 개방하고 있다.

일부 대학에서는 지역 주민을 위한 체험, 특강 활동을 개최해 지역 친화 활동을 병행하고 있지만, 다수의 학습관은 이 같은 행사 참여 외에 활용 빈도가 낮고 학생들의 참여 역시 저조해 운영 어려움을 겪는 상황이다. 이러한 경영난으로 인해 지역학습관의 축소를 논의하거나 심지어는 학습관을 폐쇄한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이 가운데 지난달 30일 열린 한국원격대학협의회 발전기획위원회에서는 사이버대 지방학습관의 효율적 운영방안이 논의됐다.

저조한 활용 빈도를 보이는 대학이 학습관을 공유해 타 사이버대 학생이 비용을 지급하고 시설을 사용하도록 제공하는 방안과, 학생 수요가 있는 대학 간의 협의를 통해 지역학습관을 공동으로 개설해 운영하는 방안 등이 언급됐다.

다수의 관계자들은 지역학습관의 운영난 해결과 시설공유를 통한 교류 강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 공감하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신상수 세계사이버대 기획홍보처장은 “지역학습관이 인건비나 유지비가 큰 상황에서 제대로 운영되지 않는다면 운영대학에서는 매몰 비용이 될 수 있다”며 “여러 포럼과 행사에서 공유의 필요성이 언급된 만큼 서로의 이해득실을 내려놓고 공유해야 학생들의 활용도 늘어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미자 디지털서울문화예술대 대외협력처장 역시 공유의 필요성에 공감했다. 그는 “공유가 활성화되려면 대학이 서로 모여 힘을 합쳐야 한다”며 “학습관 공동운영이 사이버대의 사회적 인식을 확대하는 데도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몇몇 관계자들은 시설을 제공한다는 개념이 현실적으로 쉽지 않을 것이라는 이유를 들며 부정적 견해를 보였다.

고상동 영진사이버대 평생학습처장은 “공동운영이라는 취지는 좋지만 대학마다 특성이 달라서 호응이 없을 것 같다”며 “또 자기 대학이 아닌 다른 대학의 학습관을 사용할 경우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을지 잘 모르겠다”고 말했다.

권호근 국제사이버대 교무처장은 “공동운영이 현실화되려면 여러 문제점을 풀어야 하는 만큼 쉽지 않을 것으로 본다”며 “공동학습관이 바람직한 모델이라는 점은 인정하지만, 대부분 사이버대가 운영에 어려움을 겪는 상황에서 적극적인 참여로 이어질지는 미지수”라고 말했다.

참여 대학 간의 합의 또는 시범운영을 통해 서서히 공동 활용의 개념을 확산시켜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윤병국 원대협 발전기획위원장(경희사이버대 교수)은 “여러 의견이 있겠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대학의 의사”라며 “참여 의향이 있는 대학이 서로 논의해 시설을 공유할지, 공동학습관을 만들지 결정하는 절차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상범 세종사이버대 기획처장은 시범운영을 통해 가능성을 지켜보자는 반응을 내놨다. 김 처장은 “기존 시설을 공유할 경우 대학이나 학생 입장에서 활성화가 쉽지 않은 만큼, 수요가 필요한 대학끼리 힘을 모아 일부 지역에 공동학습관을 시범운영하는 방안을 추진했으면 한다”고 조언했다.

한편 원대협은 각 대학과의 지속적인 논의를 통해 공감대를 형성해나간다는 계획이다. 김영철 원대협 사무국장은 “발전기획위원회를 통해 실무자들의 협의는 진행됐지만, 세부 절차에 대해서는 대학과 상의하며 문제를 해결하고 합의해갈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