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137개교 중 절반 이상 ‘중복’ 신청

취업약정 기업 찾기 어려워…사회맞춤형, 선정 대학 수 늘어날까

[한국대학신문 천주연 기자] ‘사회맞춤형 산학협력선도전문대학(LINC+) 육성사업’ 계획서 마감이 일주일 남짓 남았다. 전문대학 LINC+사업에는 888여억원이라는 정부재정지원금이 내걸린 만큼 이를 따내려는 전문대학들의 움직임이 분주하다. 전문대학에서는 특성화전문대학육성(SCK)사업 이후 두 번째로 큰 재정지원 규모다.

각 전문대학은 산학협력단을 중심으로 사업에 선정되기 위한 막바지 준비가 한창이다. 사업을 주도적으로 준비하고 있는 보직교수들은 지난 두 달간 밤 10시 이후 퇴근은 물론 신학기 준비도 제대로 못한 채 사업 계획서 작성에만 몰두하고 있는 형국이다. 수도권의 한 기획처장의 말을 빌리자면 그야말로 “죽을힘을 다해” 준비하고 있다.

▲ 지난달 13일 대전 한밭대에서 열린 '사회맞춤형 산학협력선도전문대학(LINC+) 육성사업 설명회' 모습이다. 이날 설명회장은 전국 각지에서 온 전문대학 관계자들로 인산인해를 이뤘다. (사진=이재 기자)

■중복 신청 허용…“배수의 진” 혹은 “하나만 파자” = 교육부는 산학협력고도화형과 사회맞춤형학과중점형 두 유형 가운데 하나만 신청할 수 있다는 기존 입장에서 선회해 지난달 13일 열린 전문대학 LINC+사업 설명회를 통해 최종적으로 중복 신청을 허용했다.

이에 일단 두 유형 모두 준비해보자는 분위기가 강하다. 충청지역 전문대학 산학협력단장은 “전국 137개 전문대학 가운데 두 유형을 모두 준비하는 곳이 60여 개 이상 되는 것으로 안다. 어차피 두 유형 모두 계획서를 내더라도 선정은 한 유형에서만 된다”며 “사회맞춤형학과중점형을 먼저 선발하고 산학협력고도화형을 선발한다고 했다. 사회맞춤형학과중점형에 떨어질 경우를 대비해 ‘배수의 진’으로 산학협력고도화형을 신청해 놓는 대학이 많다”고 밝혔다.

40여 개의 전문대학이 위치해 경쟁이 심한 수도권 지역의 경우 이런 현상이 도드라지게 나타났다. 권역별 2개만 선정하는 산학협력고도화형에 무려 25개 대학이 몰리면서 8대 1의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충청지역에서도 3분의 1에 해당하는 7개 대학이 두 유형 모두 신청했다.

하나에만 집중한 대학도 많았다. 각 대학의 특성과 여건, 여력에 맞게 한 유형을 택해 완성도 높은 사업계획서를 제출, 선정 가능성을 높이겠다는 전략이다. 특히 사회맞춤형학과중점형에 상대적으로 불리한 보건계열이 강세인 전문대학의 경우 처음부터 산학협력고도화형에만 전념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두 유형 모두 신청했다가 승산 있는 싸움을 위해 한쪽에 더 큰 무게를 싣고 있는 대학도 눈에 띄었다. 한 전문대학 산학협력단장은 “신청은 두 유형 다 했다. 내부적으로 검토해보니 산학협력고도화형에 경쟁력 있는 지역 대학들이 몇 군데 보였다”며 “권역별로 2개 대학을 선정하는 산학협력고도화형에 우리 대학은 가능성이 없다는 판단을 내렸다. 지금은 사회맞춤형학과중점형에 에너지를 더 쏟고 있는 실정”이라고 설명했다.

■협약 업체 발굴에 어려움 토로 = 사회맞춤형학과중점형에 선정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협약 업체 발굴’이 관건이다. 대학 관계자들은 예상대로 협약 업체를 찾는 게 쉽지 않았다고 토로했다.

수도권지역 전문대학 기획처장은 “모든 대학의 공통적 애로사항이 취업약정 기업을 발굴하는 것이다. 전문대학 성격에 맞는 기업 가운데 대기업을 끼고 있는 협력사나 제조사 아니고는 중소기업 가운데 건실한 기업을 찾기 어렵다”며 “건실한 기업을 찾았다 하더라도 그 기업이 1~2년 뒤에 몇 명 뽑을지 약속하는 게 쉬운 문제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교육부의 역할이 아쉽다는 지적도 나온다. 호남지역 전문대학 기획처장은 “전국에 있는 웬만한 전문대학들은 이 사업에 모두 지원한다. 기업들은 이 내용에 대해 전혀 알지 못한 상태에서 대학들이 찾아가 채용 약정을 해달라고 하니 잘 안 해준다”며 “교육부 차원에서 참여 기업들에 인센티브를 주거나 정부가 이런 사업을 하고 있다고 설명해줬으면 좋았을 것”이라고 아쉬움을 표했다.

■‘미니형’ 지원 대세…학과 단위별로 지원해야 = 평가기준에 부합하면서도 취업약정을 맺어줄 기업 확보가 어렵다보니 참여 학과 수를 줄이거나 심지어는 도중에 포기하는 대학들도 속속 나오고 있다.

한 전문대학 기획처장은 “원래 7~8개 학과 프로그램을 운영하려다 진행과정에서 협약 업체 확보가 어려워 4~5개로 줄였다”며 “이 사업 이전부터 오랫동안 준비하거나 주문식 교육이 활성화됐던 대학들 아니고는 대부분이 많은 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쉽지 않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에 사회맞춤형학과중점형 선정 대학을 기존 44개교에서 더 늘려 달라는 주장이 조심스레 제기되고 있다. 사회맞춤형학과중점형은 한 학과 프로그램에 2여억원씩 한 대학당 최대 17여억원을 지원해준다. 한 대학당 8개 학과 프로그램까지 신청, 지원이 가능하다는 계산이 나온다.

또 다른 전문대학 기획처장은 “우리대학에서 겨우겨우 약정기업을 찾은 게 4개 영역이다. 아마 지방 전문대학들의 사정은 더 어려울 것이다. 미니형으로 지원하는 대학이 많을 것”이라며 “학과 단위로 예산이 배정된 사업인 만큼 4~5개 학과 프로그램을 제시하더라도 내실이 있다고 평가되면 한 개 대학에 17여억원을 줄 것을 나눠서 두 개 대학에 지원하는 방식은 어떤가”라고 제안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