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대학신문 천주연 기자] ‘장미대선’을 앞두고 분야별 정책 토론회가 연신 이어지고 있다. 대선주자들을 향한 정책 제안도 빗발친다. 직업교육을 포함한 교육 분야도 예외는 아니다. 

직업교육정책 토론회가 지난 21일 도종환 의원 주최, 한국직업교육단체총연합회 주관으로 국회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열렸다. ‘미래환경 변화에 따른 직업교육의 방향과 국가의 역할’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그러나 이 토론회에서 발제자는 물론 사회자, 토론자까지 어디에도 전문대학 관계자는 없었다.

이날 토론회 발제와 토론은 특성화고, 일반대학, 시 교육청, 기업체 관계자들이 맡았다. 중등단계에서의 직업교육 현안과 정책 제안들이 쏟아져 나왔다. 심지어 ‘제4차 산업혁명에 부합된 미래형 직업교육 거버넌스 구축 방향’을 논한 것은 일반대학 교수였다. 이들은 한목소리로 “직업교육 없이는 대한민국의 미래도 없다”고 외쳤지만 고등직업교육의 한 축인 전문대학의 목소리는 실종된 반쪽짜리 토론회였다.

주최 측에서 워낙 급하게 추진됐던 터라 미처 초청을 못했다고는 했지만 아쉬운 대목이다. 

23일에도 이런 아쉬움은 계속됐다. 국내 최대 교원 단체인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가 '19대 대선 교육 공약 요구 과제'를 발표했다. 그 중에는 직업교육 강화도 포함됐다. 교총은 현행 고등학교 체제를 진학계열과 직업계열로 나눈 ‘고교 복선형 교육 체제’ 도입을 제시했다. 이 체제에선 직업계열 고교생이 취업하지 않고 대학에 진학하는 것이 원칙적으로 제한된다. 전문직업교육을 받은 직업계열 졸업생들이 바로 사회에 나가 취업 시장에서 활약하면 대학에 지나치게 몰리는 현상이 완화될 것이라는 주장이다.

그러나 여기도 전문대학이 실종돼 있었다. 교총에서 제안한 안에는 직업계열에서 전문대학, 다시 전문대학에서 취업으로 이어지는 트랙 자체가 없는 것이다.

4차 산업혁명이 강조되고 있다. 이를 대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다. 4차 산업혁명은 일자리 혁명이 될 것이라는 예측과 함께 직업교육의 중요성도 커지고 있다. 한 전문대학 교수는 “4차 산업혁명에서의 직업교육은 중등단계의 직업교육으로만 완성되지 않는다. 사회가 고도화될수록 고등직업교육은 더욱 필요하다. 이럴 때일수록 중등직업교육과 고등직업교육을 연계하는 방안 등이 활발히 논의돼야 하는 것 아닌가”라고 말했다.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건 이 말을 깊이 새기는 것이 아닐까.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