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51개 대학 29곳 단체 학생들 대학생준비위원회’ 꾸려
대학가에서도 추모’움직임 활발…4월 15일 대규모 행사

[한국대학신문 황성원 기자] “세월호 참사 희생자, 그리고 유가족에게 기억은 가장 큰 위로입니다. 사랑하는 사람을 아름답게 기억하는 일은 그 사람을 아름답게 보내주는 것이라고 합니다. 우리는 세월호를 오래 기억할 것입니다.”

세월호 사건 3주기를 앞두고 인양 작업이 가속 페달을 밟고 있다. 동시에 오랜 시간 추모에 동참해온 대학생들 움직임도 커지고 있다. 추모를 위해 재능기부를 하거나, 학내 릴레이 추모 행사와 더불어 연대를 만들어 진상규명 촉구에 나서는 등 분주한 모습이다.

▲ 416대학생연대 참가자들이 도보 행진을 하고 있다. (제공=416대학생연대)

지난 19일 세월호 인양이 가시화되며 전국 51개 대학 23개 총학생회가 소속된 416대학생연대 130여 명은 안산시 정부 합동분향소를 찾아 세월호 희생자들을 추모했다. 이어 분향소를 나와 단원고를 거쳐 기억 교실이 있는 안산교육지원청까지 노란 리본을 들고 도보 행진을 했다.

지난 16일 광화문 광장에서는 서울대와 연세대ㆍ고려대ㆍ서강대 등 전국 51개 대학 총학생회와 동아리 등 단체 29곳 소속 학생들이 416대학생연대를 주축으로 ‘세월호 3주기 대학생 준비위원회’도 꾸렸다. 이들은 인양과 동시에 진상규명 활동에 나서기로 했다. 세월호 참사 전날인 4월 15일에는 서울과 광주지역에서 대규모 추모 행사도 계획 중이다.

▲ 416대학생연대 참가자가 나무에 노란리본을 매듭짓고 있다. (제공=416학생연대)

교내 학생들도 자체적으로 추모행사를 열고 있다. 지난 24일 한양대 총학생회는 ‘세월호를 기억하는 한양인 공모전’을 열어 관련 글이나 그림, 사진 등을 모집하고 있다. 수상 작품은 학내 커뮤니티 등에서 공유될 예정이다.

‘세월호를 기억하는 건국대 학생들’에서는 3월 초 입학식 당일 100여 명이 넘는 신입생과 재학생들에게 노란 리본을 나눠주며 추모 캠페인을 벌이기도 했다. 오는 4월 4일에는 416가족협의회 유경근 집행위원장 등을 연사로 초대해 세월호 참사 관련 강연회도 열 계획이다.

자신의 재능을 살려 추모에 적극적으로 동참하고 있는 사례도 있다. 계명대 광고홍보학과에 재학 중인 우창성 씨와 강태구씨는 크라우드 펀딩을 통한 ‘세월호 기억하기’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휴대폰 케이스에 세월호를 추모하는 그림 등을 입혀 판매하는 방식이다. 4월 17일까지 모금을 진행한 뒤 수익금은 안산 416 기억저장소에 기부할 예정이다. 이들은 “세월호를 잊지 않고 오래 기억하면서 떠난 아이들을 더 아름답게 보내주고 싶어 프로젝트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현재 목표치의 300%를 달성하고 수백 명이 넘는 서포터가 참여하는 등 많은 지지를 받고 있다.

인양과 동시에 ‘진상규명’을 촉구하는 분위기도 계속되고 있다. ‘세월호를 기억하는 연세인의 모임, 매듭’은 각 캠퍼스 안에 분향소를 설치하고 유가족 간담회와 관련 영화 상영회를 하는 등 여러 방면에서 추모 활동을 지속하고 있다. 본격적인 인양을 기점으로 지난 21일 대자보를 내고 “세월호 참사 3주기가 한 달 앞으로 다가왔지만 해결된 것은 아무것도 없다”며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통해 다시는 이 같은 참사가 반복되지 않게 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 서울대에서는 지난 16일부터 ‘2000인 서명운동’이 이어지고 있다. 이 대학 총학생회와 세월호 참사 진상 규명을 위한 서울대 학생연대 등은 “전면 재조사가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하며 4월 16일까지 운동을 이어간다는 입장이다.

▲ 인양되고 있는 세월호 모습(사진=YTN화면)

이들은 세월호 인양을 지켜보며 ‘미수습자의 빠른 인도’와 ‘제대로 된 소통’을 공통으로 강조했다. 건국대 세월호 추모 모임 조연호 간사(컴퓨터과학과4)는 “지금은 9명의 미수습자 유해를 찾는 게 먼저”라며 “인양 이후에도 많은 과제가 남아있기에 유가족과 정부 간 소통을 위해 대학 연대에서 더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

장은하 416대학생연대 위원장도 문제 해결의 핵심을 ‘소통’이라고 강조했다. 장 위원장은 “유가족과 피해 당사자 간 제대로 된 소통이 중요하다”며 “이를 위해 인양과 관련해 확실하지 않은 일을 정해진 일처럼 보도되는 일은 없어야 한다. 이번에는 정부와 국민이 제대로 된 소통을 할 수 있도록 언론이 소통의 가교 구실을 해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