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대학신문 특별취재팀] "산학협력의 차원을 넘어 학교와 기업, 사회의 경계가 점점 느슨해지고 있다. 다변화하는 사회에 모집단위 자체를 바꿔 협업화, 모아일하기 시대에 대응할 수 있도록 대학의 학과 체제를 자유로이 해야 진정한 의미의 구조조정이 가능하다."

▲ 김도종 원광대 총장
30일 서울 프레지던트 호텔에서 열린 UCN 프레지던트 서밋 2017에서 토론자로 나선 김도종 원광대 총장은 대학의 모집단위 자체를 바꿔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프레지던트 서밋 첫 번째 콘퍼런스 2부 '교육의 정상화를 위한 고등교육 구조개혁 개선방안'의 지정토론자로 나선 김도종 총장은 국내 사회 변화상에 따른 대학의 변화가 필요함을 주장했다.

먼저 김도종 총장은 문화라는 개념의 확대가 필요함을 언급했다. 과거 영국 중심의 산업자본주의, 미국 중심의 금융자본주의 시기에 진행됐던 △대량생산 △대기업·대도시 중심 사회 △의식주 중심 산업 등이 △지식산업 △윤리산업 △감성산업 △개인맞춤형 소비시대로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김도종 총장은 "그동안 물질적 욕구에 기반한 산업구조가 정신적 욕구에 기반된 산업화로 변화하고 있다"며 "영화·예술과 같이 좁은 의미의 문화가 아니라 인간의 삶의 양식을 담을 수 있는 확장된 개념의 문화가 통용돼야 4차 산업혁명처럼 변화하는 사회상에 대응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도종 총장은 사회 변화에 맞춰 대학의 구조개혁이 필요하다며 '대학 4.0'의 개념을 설명했다.

김도종 총장은 먼저 대기업 중심 산업구조가 1인 기업, 1인 맞춤형 기업으로 바뀌고 있음을 설명했다. 이에 따라 산업구조가 빠르게 변화하게 되면서 이에 대응할 수 있는 대학 시스템이 필요함을 강조했다.

김도종 총장은 "과거 회계학과를 졸업해서 기업의 회계부에 취직해 퇴직한 후 연금으로 먹고사는 시대는 지났다'며 "융합산업이 주된 산업구조가 될 것이고 이에 맞춰 학과 중심으로 개인맞춤형 교과과정이 만들어짐과 동시에 새로운 전공이 생겨나고 자생적으로 변화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현 시국 진단과 대학교육의 역할에 대한 설명도 곁들였다. 김도종 총장은 "우리 사회가 소위 오만과 질투의 정치가 섞여 있어 혼란스럽다"며 "우리 사회에 윤리화라는 개념의 발전이 필요하며 이에 맞춘 대학교육이 요구된다"고 설명했다.

인구구조의 변화 역시 주요 키워드였다. 2016년 국내 출생 인구는 38만명이며 학령인구 감소에 따라 지난해 대학 진학률은 69.8%로 낮아졌다. 김도종 총장은 "학령인구 감소 시대에 대비하는 구조개혁을 하고 있는데 이 개혁을 대학 스스로 결정하도록 해야 한다"며 "정부에 의해 진행되는 구조개혁이 아니라 정원 축소, 유학생 유치 등 대학 스스로가 대학 요건과 능력에 따라 결정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도 김도종 총장은 국토 변화에 맞춘 구조개혁은 정부가 함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도종 총장은 "산업화 시대 이후 지방 소멸이라는 현상이 다가오면서 한국 사회가 서울 중심의 도시 국가로 전락하고 있다"며 "이러한 구조 변화는 지역 사회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대학과 함께, 정부가 힘을 합쳐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김도종 총장은 "포스텍과 카이스트는 지방에서 특수화해 성공한 케이스"라며 "서울에서 고평가를 받기 힘든 대학들이 지방으로 옮겨 통폐합 등을 통해 특정 분야의 특성화를 이루면 좋은 결과가 나올 수 있다. 정부에서는 적극적으로 지원해 유도해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국립대의 경우 현재 서울대, 경북대, 전북대 처럼 대학별로 나눠서 뽑지 말고 하나의 국립대로 통합해 선발하면 대학의 서열화 문제를 완화하고 사교육을 철폐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라는 의견도 덧붙였다.

이날 논의가 됐던 법인회계·교비회계 통합 방안에 대해서는 "한 개의 법인이 여러 대학, 혹은 중고교와 대학을 동시 보유할 경우 회계 통합이 어렵다"며 "회계를 통합하려면 한 개 법인, 한 개 대학이 전제돼야 한다"고 말했다.

끝으로 김도종 총장은 "4차 산업혁명 이야기를 여러 곳에서 많이 하지만 정작 실행에 옮기는 곳은 별로 없다"며 "적어도 우리 대학은 적극적인 구조개혁을 통해 4차 산업혁명을 넘어 인문·문화가 강조되는 5차산업혁명까지 대비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