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단위 경쟁 거쳐 일반대 5개교, 전문대 9개교 추가 합류
일반대 중점형·전문대 고도화형은 각각 6월, 4월 말 발표

[한국대학신문 이연희 기자]사회맞춤형 산학협력선도대학육성사업(이하 LINC+ 사업) 일반대 산학협력 고도화형 55개교와 전문대 사회맞춤형학과 중점형 44개교가 확정됐다.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 16일 발표한 사회맞춤형 산학협력선도대학육성사업(이하 LINC+ 사업) 결과에 따르면 14일 사업관리위원회에서 우선선정 이후 진행된 전국경쟁을 통해 일반대 5개교, 전문대학 9개교가 추가 선정됐다.

LINC+는 (가칭)Post-LINC로 불리던 LINC사업의 후속사업과 신규 추진되는 ‘사회맞춤형학과 활성화 사업’이 합쳐진 사업으로, 올해 총 3271억원의 예산이 투입되는 대규모 재정지원 사업이다.

일반대 산학협력 고도화형 예산은 2163억원, 사회맞춤형학과 중점형은 220억원 규모다. 전문대의 경우 산학협력 고도화형은 130억원, 사회맞춤형학과 중점형은 758억원 수준이다.

일반대 산학협력 고도화형 사업대학은 1단계 포뮬러 평가, 2단계 사업계획서 평가(권역별, 전국단위), 사업관리위원회 심의·확정 등 3단계 절차를 거쳐 선정됐다. 포뮬러 평가에서는 8개 지표로 대학의 산학협력 기본역량을 평가해 선정 대학 수의 약 2배수인 104개교를 선발했고, 서면평가를 통해 호남제주권을 제외하고 권역별 16개교인 총 78개교를 거른 뒤 권역별 정성평가(서면+대면)에서 권역별 10개교씩 총 50개교를 우선 선정했다. 이후 전국단위 정성평가를 통해 한양대, 공주대, 계명대, 동의대, 강릉원주대 5개교가 부활했다.

전문대 사회맞춤형학과 중점형의 경우 정량평가와 정성평가 점수를 합산(정량 30%+정성 70%)하는 형태로 추진됐다. 정량평가는 사회맞춤형 교육역량, 진로지도역량, 산학협력역량, 산업체 친화역량 등 대학의 사회맞춤형 교육과정 운영상의 추진여건과 역량을 평가하는 데 중점을 뒀으며, 이후 대학이 제출한 사업계획서에 대한 정성평가(서면+대면)를 실시해 권역별 7개 대학(총 35개교)을 선정하고, 전국단위 정성평가를 거쳐 9개교를 추가 선발했다.

이번 LINC+ 선정평가는 정부 재정지원사업 최초로 평가위원 중 50% 이상을 공모해 선발했다. 한국연구재단은 지난 2월 2~10일 LINC+ 평가 참여 의향이 있는 전국 대학 부교수급 이상을 대상으로 평가위원 공모를 실시했으며, 이후 신청 인원을 대상으로 △평가경험 △보직경험 △산학협력 실적 △상피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평가위원을 선정했다.

LINC+ 사업은 지난해 7월 발표된 대학재정지원사업 개편방향에 따라 추진하는 첫 번째 사업으로 대학의 비전, 여건 및 특성에 기반한 자율적 산학협력 모델 창출을 핵심으로 삼고 있다.

이에 따라 대학이 제시한 산학협력 모델이 지역사회, 지역산업, 특화 분야 등 대학 내·외부적 여건에 대한 타당성 분석을 기반으로 적합하고, 실현가능성 있게 수립됐는지 여부가 선정평가에서 중요한 요소로 작용했다. 사업 내용뿐 아니라 대학의 중장기 비전, 대학의 산학협력 발전계획 및 LINC+사업계획 간의 연계성에 대한 거시적 접근 등을 통한 정성평가가 이뤄졌다.

20개교 내외에 연 220억원을 지원하는 일반대 사회맞춤형학과 중점형은 5월 중 평가를 거쳐 6월 초, 15개교 내외에 연 130억원을 지원하는 전문대 산학협력 고도화형은 이달 말 선정결과를 발표한다.

LINC+사업은 2021년까지 2년간 수행 후 중간평가를 거쳐 3년간 지속하는 2+3형태다. 선정된 대학은 앞으로 지역산업 및 지역사회와의 긴밀한 협조를 기반으로 우수인력 양성, 일자리 창출, 기업지원 및 창업 활성화 등 지역사회의 혁신 주체로서 자리매김하는 데 주력하게 된다.

김영곤 교육부 대학지원관은 “대학에 자율성을 부여한 결과 전국적으로 다양한 산학협력 모델이 제시된 것 같다”며 “향후 대학이 제시한 산학협력 모델이 지속적으로 우수한 성과를 창출해 지역사회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