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정보 지음 《불편한 동해와 일본해》

영남대 독도연구소가 독도연구총서 시리즈로 《불편한 동해와 일본해》를 발간했다.

이 책은 영남대 독도연구소의 공동연구원인 심정보 서원대 교수(지리교육과)가 장기간에 걸쳐 국내외에서 수집한 동해와 일본해 관련 고지도, 고문헌, 근대 지리교과서 등의 자료를 체계적으로 분석한 성과물이다. 총 187장(지도 140장, 문헌 및 사진 47장)의 이미지를 보는 것만으로도 흥미롭다.

‘불편한 동해와 일본해’는 전문가뿐만 아니라 일반인들도 동해와 일본해의 불편한 역사를 이해하는 데 유용하다. 주요 내용은 지명과 분쟁 이야기, 지명 분쟁의 사례를 비롯해 지도에서 ‘왜, 동해와 일본해를 병기해야 하는가?’를 논리적으로 제시했다.

심정보 교수는 전근대 동서양에서 간행된 고지도와 고문헌을 중심으로 동해와 일본해 지명의 발생과 근대 일본과 한국에서 간행된 지리교과서에 주목하고, 일본에서 일본해 지명의 정착 과정과 한국에서 동해 지명 사용과 관련한 사료에 근거해 ‘불편한 동해와 일본해’를 저술했다.

특히, 심정보 교수가 새롭게 밝혀낸 근대의 동해와 일본해 명칭의 역사는 주목할 만하다. 1905년 을사늑약 이후 통감부는 현재의 교육부에 해당하는 학부(學部)의 교육정책에 관여했다. 통감부의 시녀로서 학부가 1907년 1월에 편찬한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은 친일을 표방한 대표적인 국정 교과서로 지리교재 부분에는 동해 해역이 모두 일본해로 공식 표기됐다. 대한제국이 망해가는 상황에서 윤치호는 1907년에 애국하는 마음이 ‘동해’ 바다처럼 깊고, 백두산과 같이 높아야 한다는 염원을 담아 애국가를 작사하기도 했다. 그 외에도 지리교과서 집필자들은 일본해에 대한 대응으로 본문과 수록 지도에서 동해를 대한해로 표기하거나 대한해와 일본해를 함께 표기하기도 했다. 예컨대, 조종만은 1908년의 『초등대한지지』에 첨부한 대한전도에서 대한해로 표기했으며, 현채는 1909년 사립학교 소학용 국어독본 『신찬초등소학』에 수록한 한국교통약도에서 대한해와 일본해를 함께 표기했다. 그리고 그의 아들 현공렴도 1908년에 편찬한 지도집 『신정분도 대한제국지도』에서 ‘대한제국전도’에는 동해 해역을 대한해로 표기하고, ‘아시아전도’에는 대한해와 일본해를 함께 표기했다. 그러나 1910년 한일병합 이후 이들 명칭은 조선총독부에 의해 일본해로 통일됐고, 학생들은 학교 교육을 통해 일본해 지명의 정체성을 강요받았다. 이처럼 현재 한국인들의 일본해 지명에 대한 반감과 그 해결 방안에 대한 사고방식은 100여 년 전의 지리교과서 집필자들과 매우 유사하다.

심정보 교수는 “어느 한 국가의 주장을 일방적으로 주장하는 것이 아닌,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모색하고 싶었다”면서 “동해와 일본해 지명의 분쟁은 한·일 간의 과거사 문제에 기원한다. 한·일 간에 갈등과 분쟁의 바다에서 상호 이해의 바다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역사적 사실에 근거해 동해와 일본해 지명을 올바르게 이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현재 국제사회에서 널리 통용되고 있는 일본해는 과거 일본의 제국주의, 식민주의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국제수로기구의 전신인 국제수로국은 1928년에 『해양과 바다의 경계』라는 지침서를 완성했는데, 이 책자에는 동해 해역의 명칭이 ‘일본해’로 기재돼 있다. 이후 전 세계의 지도 제작사들은 지도에 동해 해역을 일본해로 표기함에 따라 국제사회에서 일본해가 정착했다. 당시 한국은 일본의 식민지였기에 이 회의에 참석해 의견을 제시할 수 없었다.

한편, 영남대 독도연구소는 2005년 5월 11일 우리나라 최초로 독도 관련 연구를 위한 대학부설 연구소로 설립됐다. 2007년부터 교육부 정책중점연구소로 지정돼 ‘독도 영유권 확립을 위한 학제간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전문학술지 <독도연구>를 비롯해 <독도연구총서>, <번역총서>, <자료총서> 발간 등 등 독도 영유권 공고화를 위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또한 한일 양국의 양심적 학자들을 초빙해 일본의 독도 도발에 대응하기 위한 다양한 주제의 국제학술대회도 매년 1~2회 꾸준히 개최하는 등 명실공히 대한민국 독도연구의 허브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밥북 / 2만7000원)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