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EPI, 개원30주년 과학기술정책포럼 열어

▲ STEPI는 26일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창립 30주년 기념 과학기술정책포럼을개최했다. 개회식에서 축사를 발표하는 김명자 과총 회장. (사진=김정현 기자)

[한국대학신문 김정현 기자]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이 26일 오후 2시 서울 테헤란로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한국 기술혁신연구의 현황과 향후 과제’를 주제로 411회 과학기술정책포럼을 열었다. STEPI 개원 30주년을 겸해 열린 이번 심포지엄은 개회식을 시작으로 △경영‧경제 △공공‧사회 세션이 각각 중회의실과 소회의실에서 진행됐다.

김명자 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회장은 축사에서 “4차 산업혁명은 말 그대로 혁명과 같다고 느낀다. 과학기술이 사회 모든 부문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경험한 적이 없다”며 “곧 초지능으로 넘어갈 인공지능 등 정체불명의 기술이 결합하며 미래사회의 모습이 상상력을 동원해도 알기가 어렵다”고 말했다.

이어 “기술의 혁신 소용돌이에서 새로운 기술을 배우지 못한 사람들이 직장에서 밀려나 중산층이 어려워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 기술을 발전시켜야 하나 그 과정에 빈부격차가 심하게 벌어진다. 1, 2차 산업혁명에서도 데이터로 드러난 사실이다”며 “과학기술계가 사회, 복지정책까지 함께 생각해야 하는 시대가 됐고, 포용적 혁신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중요한 시기에 산업, 경제성장과 기술혁신, 사회를 들여다보는 포럼을 개최한 것을 뜻깊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 이날 포럼에서는 대학의 연구정책에도 적용해 볼 학술성과도 소개됐다. 하지만 더 심도 깊은 연구를 위한 기반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공공연구시스템 연구의 현황과 과제' 주제토론에서 말하는 김성수 한국외대 교수.(사진=김정현 기자)

이날 포럼에서는 대학의 연구정책에도 적용해 볼 학술성과도 소개됐다. 공공‧사회 세션에서 조현대 STEPI 선임연구위원은 ‘공공연구시스템 연구의 현황과 과제’ 주제발표를 통해 대학과 정부출연연구기관 등 공공연구조직의 연구시스템을 학술적으로 연구한 성과들을 분석했다. 조 위원은 대학의 연구비 중앙 관리체계와 대학간접비 원가계상 기준 도입과 같은 △연구비 관리 방안 및 운영시스템, 연구성과 사업화, 산학연 협력 등으로 대학의 공공연구시스템의 학술성과를 분류해 소개했다.

하지만 더 심도 깊은 연구를 위한 기반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이장재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선임연구위원은 토론에서 “연구 생태계가 많이 황폐화됐다. 비영리 싱크탱크가 늘어야 하는데 그게 어렵다”며 “이론연구라든지 분석연구가 많이 진행돼야 적절한 연구가 진행되지 않을까. 대학도 과학기술정책관련 학과가 많이 늘어나고 있는데, 이런 연구센터가 많이 늘어나 출연연과 다른 방식의 연구가 진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은 과학기술 활동 및 과학기술 부문과 관련된 경제사회의 제반문제를 연구‧분석하고 국가 과학기술 정책의 수립과 과학기술 발전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세워진 국무총리실 산하의 기타공공기관이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