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대학신문 황성원 기자] 일하지 못하는 청년이 30여 만 명이다. 취업 준비생 10명 중 9명은 무기력증을 느끼고 있다. 5명 중 1명은 일하지 않고 의지도 없는 니트족(NEET)을 자처한다. 극심한 취업난으로 갈무리되는 경제 시장은 몇 년째 볕 들 날이 없었다.

지난 정부는 청년들 취업시키는 게 힘들자 창업을 하라고 선전했다. 정부부처는 너도나도 창조경제라는 단어를 붙여 업무를 밀어붙였다. 일자리 주무부처는 벤처기업 3만 개라는 목표를 두고 숫자 맞추기에 골몰했다. 내실 없는 기업들은 줄도산했고 기사회생은 사전 속 단어가 됐다.

5월 24일 문재인 대통령이 청와대 대통령 집무실에 일자리 상황판을 설치했다. 18대 대선에서 약속했던 공약이었다. 5년 만에 소회를 푼 만큼 상황판도 직접 시연하며 ‘제대로 일하겠다’는 모습을 보여줬다.

이에 야당 의원들은 볼멘소리를 하고 있다. 문 대통령의 1호 공약이었던 공공부문 일자리 81만 개 창출의 연장선에 일자리 상황판이 있다고 했다. 목표 숫자를 상황판에 올리기 위해 전력 질주하는 모습은 지난 정부의 실패를 답습한다고 꼬집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청년세대는 ‘일자리 하나는 끝까지 책임지겠다’라는 대통령에게 거는 기대가 크다. 말끝마다 헬조선이 붙는 시대를 종결시켜주길 원한다. 정규직으로 입사해 일한 만큼 보상받는 지극히 단순한 삶을 꿈꾼다. 비정규직으로 최저임금마저 보장되지 않으면서 성과를 내길 바라는 비정상적 자본주의 시장을 바로잡아주길 기대한다.

공공부문 일자리 확대에서 출발한 문재인표 일자리 정책이 민간 기업의 마중물이 되길 바란다. 결국, 민간 기업이 움직여야 채용 시장에 숨통이 트이기 때문이다. 실제 서울시는 지난 2013년 비정규직의 정규직화를 단계별로 접근해 지방정부까지 확산시키는 순기능 역할을 해냈다.

다만 ‘숫자’에 집착하는 일은 반복되지 않아야 한다. 문 대통령이 블루스크린 앞에서 오르락내리락하는 그래프 위에 적힌 숫자를 강조하는 모습은 정부 부처엔 경각심을 일깨우고, 시민사회엔 희망을 불어넣는 ‘제스처(gesture)’로만 이해되길 바란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