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학과 단 한곳만 남아…통일교육선도대학들 ‘단발성’ 프로그램 집중

전문가들 “인식개선 교육 필요성에는 공감…전문가 양성도 함께 해야”

[한국대학신문 이지희 기자] 문재인 대통령의 당선으로 북한 전문가들이 대북 기조 변화 가능성을 점치고 있는 가운데 정작 통일 전문 인재를 양성할 대학 현장의 통일 교육은 미흡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지난해 3월 시작된 ‘통일교육 선도대학 지정·육성사업’(선도대학)‘은 미래 통일시대를 대비해 대학 내 통일교육을 심화 발전시키고, 통일시대의 창의적 인재를 양성한다는 취지의 정부 주도 사업이다. 전국의 일반대를 대상으로 공모를 실시한 결과 총 31개 대학이 지원했다. 권역별로 서울대·숭실대·아주대·충남대·경남대·광주교육대 등 총 6개 대학이 선정됐다. 사업 기간은 최대 4년이며 첫 해 정부 지원금은 총 18억원이다. 지원금은 각 학교의 학생 규모와 사업 프로그램에 따라 차등 지원됐다.

그러나 통일인재를 양성하는 북한학과는 통폐합되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 주도의 통일교육이 앞뒤가 맞지 않는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통일교육의 내용이나 형식이 대부분 단발적이고 이벤트성 교육에 그치는 경우가 많아서다.

▲ 2017년 현재 북한학과 현황.

실제 본지가 통일교육 선도대학 사업에 참여 중인 6개 대학의 사업 진행 현황을 조사한 결과 대부분 교양 강좌나 통일 캠프, 신입생 세미나와 같은 단발성 프로그램에 치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아주대는 교과운영 부분의 통일트랙과 비교과활동 부분의 통일마라톤 두 가지 프로그램을 운영했다. 통일마라톤은 온라인-오프라인 컨퍼런스·세미나·토크콘서트 등으로 이뤄진 이벤트성 행사에 그쳤으며, 교과과목으로 진행되고 있는 통일트랙도 교양과목으로 개설돼 깊이 있는 통일교육은 기대하기 어렵다. 충남대의 경우 월례 통일강좌와 통일 축제, 통일 UCC경연 등의 9개 시범강좌를 운영했다. 경남대는 통일교육 학술대회나 토론대회를 열었다. 토론대회나 공모전, 세미나를 개최한 광주교대의 경우도 앞선 대학들과 마찬가지로 단기 프로그램에 집중했다.

일부 차별성을 둔 경우도 있었다. 선도대학에 선정되기 전부터 통일교육에 적극적이었던 숭실대는 통일관련 융합학과를 개설해 부전공으로 선택할 수 있게 했다. 북한과 관련된 영상이나 문서 등을 모아놓은 북한특수자료실을 만들기도 했다. 서울대는 학부보다는 대학원생 위주로 전문적인 통일인재를 교육하고 양성한다는 계획이다. 서울대 통일연구소 관계자는 연구소와 연계해 통일에 연구와 연구기반 정책을 체계적으로 준비하겠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통일문제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개선이 어렵다는 데 공감하며 그런 차원에서 선도사업은 필요한 사업이라고 입을 모았다. 그러나 이런 인식개선을 위한 통일교육과 더불어 전문가를 키워내는 교육에 대한 지원도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한다.

고유환 동국대 교수(북한학)는 “(인식개선을 위한) 교육만으로 통일할 수 있는 건 아니”라면서 “전문가를 키워야 한다. 특히 북한학과 같은 전문 인력 양성에는 지원을 안 해주고 이벤트성 행사나 프로그램에 재정 지원하는 것은 바람직하다고는 보기 어렵다”고 꼬집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도 “분단국가인 한국에게 통일은 국가과제이기 때문에 통일교육은 중요하다”며 “다만 아쉬운 것은 전문가를 양성하는 북한학과가 사라지고 있다는 것인데 정부의 통일 의지가 있다면 장기적인 차원에서 북한학과를 늘리고 이에 대한 정부의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실제 1990년대 후반부터 생겨났던 북한학과는 대부분 폐과되거나 통합 돼, 현재는 동국대에만 유일하게 남아있는 상태다.

통일부 관계자는 전문가들의 지적에 대해 “통일교육은 앞으로도 더 보완해 늘려갈 계획”이라며 “연차 보고서를 통해 사업 성과와 학생의 불만사항 등도 조사하겠다”고 밝혔다. 또 “정권이 바뀌어도 일단 해당 사업은 계속 진행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