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교육비‧비교육적‧역량 부족 등 문제 많은 전형 폐지해야 주장 나와

창의적 인재 양성 위해 필요해…고교서부터 논술형 교육 정상화 필요하다는 지적도

▲ 수도권 한 대학의 논술시험 현장. 대통령 공약에 들어간 논술전형 폐지를 두고 교육계에서는 이견을 나타내고 있다.

[한국대학신문 구무서·이하은 기자] 논술 폐지를 공약으로 내 건 새 정부 정책에 대학가는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논리적 사고력 향상을 위해 서술형 교육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문재인정부는 입시전형 단순화를 위해 논술전형을 폐지를 공약으로 내세웠다. 앞서 박근혜정부도 논술은 축소의 길을 걸었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역시 이러한 기조에 맞춰 논술을 지양하며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에 논술전형 인원을 반영하는 등 논술전형의 영향력을 줄여왔다.

입시 전형 중 논술의 영향력을 줄이고자 하는 이유는 크게 세 가지로, 첫째는 사교육비 문제다. 현재 고교 교육으로는 논술전형을 준비할 수 없기 때문에 학생들이 사교육에 매달린다는 것이다. 지난 2016년 송기석 국민의당 의원이 804명의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사교육을 유발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전형’에 1위가 논술전형으로 꼽혔다.

현재 실시되고 있는 대학별 논술이 논리적 사고력보다는 정해진 답을 풀어 쓰는 것에 불과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대치동 학원가에는 ‘A대학 논술반’ ‘B대학 논술반’과 같이 특정대학을 목표로 하는 반을 개설해 특정대학이 선호하는 형식의 논술을 연습시키는 실정이다. 교육과혁신연구소 이혜정 소장은 “논술 문제 자체가 대학별로 유형화 돼있어 학생들이 딱히 독창성을 발휘할 여지가 크지 않다”고 말했다.

개별 대학이 논술전형으로 평가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도 거론된다. 우리교육연구소 이현 소장은 “경쟁률 40대1이 넘는 대학 논술전형의 경우 한 대학에 5만장의 논술 시험지가 들어오는데 개별 대학에서 공정하고 꼼꼼하게 공들여 채점하기에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교육 전문가들은 논술전형의 문제점 개선을 위해 다양한 안을 제시했다. 이현 소장은 “독립적인 전형은 폐지하되 학생부중심 선발에서 2차전형으로 논술형 평가를 도입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혜정 소장은 “정답이 정형화돼있지 않고 채점에 대한 관리감독이 철저하며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시험인 IB(international baccalaureate) 시험도 고려해볼만하다”고 말했다.

지난 정권에서 축소된데 이어 현 정권에서 폐지가 언급되자 대학들은 취지에는 공감하면서도 교육적 측면에서 논술형 평가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4차산업혁명 시대의 도래로 창의성이 강조되는 시점에 사고력을 바탕으로 논리적 글쓰기 시험인 논술이 사라지면 정해진 답만 맞추는 객관식 시험만 남는다는 것이다. 김현 경희대 입학처장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는 인재가 되기 위해서는 자기 생각을 글로 논리적으로 풀 수 있어야 하는데, 논리적 사고를 평가하는 것이 바로 논술”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학생들의 창의성과 논리력 향상을 위해 고교에서부터 논술 교육이 정상화돼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김현 처장은 “창의적 인재를 교육하고 육성하기 위해서는 논술전형과 상관없이 고교에서 논술 교육이 이뤄져야 한다”며 “요즘 국공립 교사 임용 시에 논술 교육을 할 수 있도록 의무화돼 있어 충분히 가르칠 역량이 있다”고 말했다.

김혜숙 이화여대 총장도 “우리나라에서 글쓰기 교육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니 논술만 측정하는 기형적 현상이 벌어진다”며 “공교육이 정상화되면 논술만 따로 떼어내 시험을 보는 것은 없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