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4년부터 20여 년간 끊이지 않았던 학내분규가 93년 임시이사 개편 이후에는 단 한번 도 없었다는 점을 주목해야 합니다." '임시이사 임기제'를 둘러싼 최근 논란과 관련, 상지대박정완 교수(경제학)는 이같이 말했다.

상지대는 지난 93년 임시이사 체제로 개편된 이래 최근까지 많은 변화를 겪었다. 김문기 전 이사장 체제의 말기였던 지난 92년 당시 이 대학의 교수 1인당 학생수는 37.2명이었다.

그러나 지난해에는 29.5명으로 낮아졌다. 교직원수는 77명에서 1백24명으로 두 배 가까이 늘었으며 학생들의 장학금 수혜율도 7.2%에 불과하던 것이 20.8%로 파격적 상승을 보 였다. 이밖에도 강의동 면적은 무려 4배 가까이 늘었다.

대학 관계자들은 김 전 이사장 체제가 계속됐더라면 이같은 일은 가능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입을 모은다.

재정운용에 있어서도 구재단 하에서는 이사장 독단으로 예·결산을 편성했으며 예·결산 공 고 실적도 전무했으나 현 임시이사 체제에서는 부서간 논의를 거쳐 예·결산을 편성하는 것 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학생들에 대한 배려가 늘어난 것도 임시이사 체제의 특징 중 하나이다. 지난 94년부터 학생회관에 부대시설을 확충하기 시작, 올해에는 대대적인 학생회관 증축공사를 벌이고 있다.

박교수는 "전 재단의 복귀는 대학 구성원 누구도 원치 않는 일이 됐다"고 말했다.

한편 상지대 관계자들은 김덕중 교육부장관이 최근 "대학에는 주인이 있어야 한다"며 구재단의 복귀를 지지하는 발언을 했던 것에 대해 매우 의아해 한다.

김 장관의 논리가 맞다 하더라도 김 전 이사장은 이른바 '대학의 주인' 자격이 없다는 게 이 대학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이들에 따르면 상지대의 모체는 지난 63년에 개교한 '원주대학'이며 설립자는 원주지역 종교계 인사였던 원모씨였다.

이 대학에 부실 시비가 일어나자 73년 문교부는 김문기씨를 임시이사로 파견했으며 김씨는 학교이름을 상지대로 변경해 93년까지 운영해 왔다. 결국 상지대의 주인임을 자처하는 김 전 이사장도 임시이사 출신인 것이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