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28일 이행점검 결과 설명회…28일까지 이의신청 접수 후 9월 4일 확정

[한국대학신문 대학팀] 교육부가 지난 2015년 1주기 대학구조개혁평가 하위대학에 대한 2년차 이행 점검 결과를 22일 각 대학에 통보했다. 본지 확인 결과 20여개 대학이 재정지원 제한 정도가 완화된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해 1년차 이행 점검 결과 이행실적이 우수한 1그룹(일반대 10개교, 전문대 15개교)은 재정지원 제한이 완전 해제됐고, 성과지표 일부가 개선되지 않은 2그룹(일반대 7개교, 전문대 7개교)은 재정지원사업 신규 참여 외에는 제한이 해제된 바 있다. 2그룹으로 분류돼 재정지원이 일부 제한됐던 홍익대 세종캠퍼스는 서울캠퍼스와 동일 대학이라는 점을 뒤늦게 인정 받아, 올해 1월부로 이행점검 대상에서 제외됐고 제한도 해제됐다.

그러나 이행계획 수립과 실적이 모두 좋지 않은 3그룹(일반대 16개교, 전문대 12개교)은 국가장학금과 신규 사업은 물론 기존 사업까지 전면 제한됐다. 상시컨설팅 대상 5개 대학은 별도로 조치되며 실제 한중대와 대구외대는 현재 폐교 절차를 밟고 있다.

23일 본지 취재에 따르면 이행점검 결과 재정지원 일부해제 2그룹에서 완전해제 1그룹으로, 또는 3그룹에서 완전해제 1그룹 또는 일부해제 2그룹으로 상향 조정된 대학 수는 28개교 중 20개교 이상인 것으로 확인됐다. 등급이 유지되는 대학은 있으나 등급이 떨어진 대학은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2그룹과 3그룹에서 상향조정되면서 재정지원 제한이 완전해제 된 것으로 확인된 대학은 18개교 이상이다. 일반대는 호원대와 루터대, 나사렛대, 중부대, 극동대, 꽃동네대, 수원대, 김천대 등 8개교, 전문대학은 강원도립대학, 송곡대학, 송호대학, 세경대학, 상지영서대학, 고구려대학, 목포과학대학, 연암대학, 성덕대학, 김해대학 등 10개교다. 3그룹에서 2그룹으로 일부해제 된 곳은 금강대와 KC대, 서울기독대, 한영대학 등이다.

경주대와 세한대, 청주대, 농협대학, 서울한영대학, 영남외국어대학 등은 아직 이의신청 기간이 남아있는 만큼 공개하기 어렵다고 답을 피했다.

▲ 호원대 전경

3그룹에 속했다가 2년차에 재정지원이 완전 해제된 호원대의 장병권 기획처장은 "세 영역 모두 통과된 데는 작년도에 비해 실적 데이터를 쌓은 데 있다. 올해는 실적중심으로 보고서를 작성하고 구성원들이 고생해서 실적관리와 데이터관리를 체계적으로 진행했다"고 설명했다.

성덕대학도 완전해제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이 대학 관계자는 "지난 1차년도 실패를 겪으면서 조금 당황스러웠던 것도 사실이지만, 이번에라도 좋은 결과가 있어 다행이다. 학교 내부적으로 인사 조정 등 활로 모색 노력이 있었다. 완전해제를 발판으로 다시 한 번 학교가 한 단계 위로 도약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각오를 다졌다.

지난해 처음으로 대학구조개혁평가를 받아 E등급을 받았던 김천대도 1년간 뼈를 깎는 노력을 했다고 밝혔다. 이 대학 관계자는 "김천시가 혁신도시로 선정돼 이에 부응하려 노력했고, 보건대학 중심으로 특성화를 위해 뼈를 깎는 구조조정을 했다"고 말했다. 

마찬가지로 1그룹으로 도약한 목포과학대학의 장헌민 기획과장은 "바로 2주기 대학구조개혁평가가 눈앞에 있으니 부족한 점을 더 보완해서 더 열심히 할 것"이라고 의지를 보였다.

반면 재정지원 제한이 완화되지 못한 대학들은 이의신청을 하겠다고 입을 모았다. 한 지역 전문대학 관계자는 "지난해 높은 점수를 받은 지표가 올해는 30점이나 떨어졌다. 평가위원이 바뀌면서 주관적인 시각이 강하게 개입된 것이라 보고 이의 제기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학구조개혁위원회는 22일 이행점검 결과 커트라인을 정해 그룹을 가조정하고 대학에 통보하도록 했다. 컨설팅을 위탁 받은 한국교육개발원 대학평가본부는 24일과 28일 오송역에서 이행점검 결과에 대한 설명회를 열고 각 대학별로 컨설팅과 이행점검에 대한 평가결과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했다. 한국교육개발원은 지난해에도 이같은 맞춤형 설명회를 연 바 있다.

각 대학은 28일까지 이의신청을 제기할 수 있으며, 최종 결과는 9월 4일 대학구조개혁위원회에서 확정된다. 이는 2018학년도 수시모집에 앞서 수험생들의 학교 선택에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기 위해서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