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행 4년째를 맞고 있는 대학종합평가인정제가 본래 취지와는 다르게 일부 대학의 경우 외형 변화를 통한 점수 높이기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대교협 주관으로 지난 94년부터 시작된 대학종합평가인정제는 정량적인 평가 척도가 평가 의 중요부분을 차지, 시행 초기부터 논란이 빚어졌으나 올해에도 기본 골격이 그대로 유지 돼 평가를 받는 대학들이 일부 평가항목에서 외피개선에만 치중하고 있는 것.

올해 평가를 받은 한국외대는 최근 학생회관을 보수하면서 평가위원들의 발길이 미치는 1 층 화장실만을 보수했다.

한남대는 평가기준에 맞춰 교육시설을 확보하기 위해 각 단대 학생회실을 축소했다. 이에 따라 일부 학생회실은 비좁은 컨테이너 박스로 옮겨져 학생들로부터 반발을 사고 있다.

경원대의 경우 교사(校舍)의 신/증축 및 공간 재배치 작업으로 학내가 건축 공사장으로 변해 수업에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 또한 일부 단과대는 증축공사로 강의실이 부족, 학생들 이 매시간 마다 강의실을 바꿔가며 수업을 해야 하는 등 불편을 겪고 있다.

호남대의 경우 사정은 다르지만 대학종합평가인정제에 대비, 교수를 충원하면서 예산부족 을 이유로 강사를 줄여 일부 교양과목이 폐쇄되기도 했다.

이에 대해 박거용 상명대 교수(영어교육학)는 "대학종합평가제도가 대학의 재정상태나 시 설 등 정량적인 부분만을 평가하기 때문에 대학들이 외피에만 신경을 쓰고 있다"며 "대학교 육의 질적인 부분과 함께 학내 의사결정 구조의 민주성 여부도 평가할 수 있도록 제도가 개선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대교협 관계자는 "대학종합평가 1백개 항목 가운데 정량평가 항목은 35개에 불과하 다"며 "그러나 대학교육의 국가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정량적인 부분에 대한 평가도 반 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