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차산업 관련 교육과정, 전문적으로 담당하는 기관 부족해

-국내 농업 경쟁력 확보 위한 정부의 지속적인 지원 요구돼
-농학·경영학 등 융합 전공 및 교육과정 개설 필요성도

▲ 미래농업을 위한 성장동력으로 6차 산업의 중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지만 전문인력을 양성할 수 있는 교육기관이 거의 전무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위 사진은 기사와 무관함. (사진= 임용표 충남대 교수)

[한국대학신문 주현지 기자] 6차 산업이란 농촌의 유·무형 자원을 기반으로 재배, 가공·제조, 유통·판매, 관광·체험 등을 연계해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활동을 의미한다. 아직 생소한 개념이지만 미래농업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성장 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최근 농촌은 고령화와 인구 감소로 이중고를 겪고 있어 해당 산업 인재양성이 필수적이지만 관련 교육기관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6차 산업의 핵심은 효율적인 공급 시스템이다. 농업 공동체에서 재배·가공·유통 과정이 이뤄질 수 있기 때문이다. 친환경 먹거리를 보다 더 저렴한 가격으로 유통 가능하고, 도시와 농촌 간의 활발한 교류를 유도할 뿐만 아니라 농촌 내부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실현할 수 있다는 전망도 제시됐다.

전문가들은 6차 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전문 코디네이터를 양성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농업 종사자들이 재배와 가공, 유통 과정을 모두 따로 습득하고 진행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이유에서다. 그러나 관련 교육기관이나 프로그램은 거의 전무한 상태다.

경남과기대 창업대학원 6차산업학과의 신용욱 교수는 “현장 수요조사에 따르면 재배·가공·마케팅을 연계한 교육과정이 있기만 하다면 참여하고 싶다는 사람들이 많았지만 정작 6차산업을 위한 전문 코디네이터 교육을 담당하는 대학은 많이 부족한 상황”이라고 전했다.

6차 산업 교육과정의 부재 요인으로 농업 관련 단과대학의 감소가 한몫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과거에 비해 전국적으로 농업대학이 사라지면서 주도적으로 관련 연구 및 교육을 담당할 곳이 거의 없다는 것이다. 남아있는 농과대학에서도 재배에만 초점을 맞출 뿐 차세대 산업을 위한 가공 판매 유통에 대한 교육이 보편화되지 못한 상황이라는 의견도 있었다.

6차 산업에 대한 인식도 퍼져있지 않다. 입시 충원율과 취업률에 따라 학과가 통폐합되는 상황에서 학생들의 수요가 많지 않고, 졸업생들이 대체로 영세 기업에 취업하는 학과를 위해 학교차원에서 지원할 리는 만무하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관련 학과나 교육과정을 개설하기에는 추진력이 약하다는 지적도 이어졌다.

신용욱 교수는 대학 내 연계전공이나 공통교육과 같은 융합교육이 대안이라고 제시했다. 그는 “6차산업 자체가 1·2·3차 산업의 융합으로 이뤄지는 만큼 교육에 있어서도 융합이 이뤄져야 한다. 특히 농학과 경영학의 융합이 필요하다”며 “경영학 교수들이 농학과 교수직을 겸직해 함께 수업을 진행하는 것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국가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김흥태 충북대 교수(식물의학)는 “국가가 주도하는 차별화되고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면서 “단기간에 성과를 내기 어려운 산업인 만큼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요구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