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 참여 적극 유도…신선한 아이디어 참고

전문가들 “의미 있지만 사업 지속성 위한 고민 필요”

▲ 서울시가 중심지 도시재생 지역 활성화를 위해 지난 10월 CJ올리브네트웍스와 함께 '2017 청년창업 페스티벌 X2O'를 진행했다. (사진= 서울시 제공)

[한국대학신문 이지희 기자] 문재인정부는 도시재생 뉴딜 정책에 5년간 총 50조원의 재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처럼 정부가 나서 도시재생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것을 천명하면서 도시재생이 또 하나의 화두가 되고 있다.

도시재생은 산업구조가 변하면서 낙후된 도시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어 지역을 다시 부흥시키는 도시사업이다. 도시 확장으로 인해 나타나는 도심 공동화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 등장했다.

한국은 아직 걸음마 단계에 불과하지만, 일찍부터 도시재생 사업에 눈을 뜬 해외에서는 이미 도시재생 사업을 통해 죽어가는 도심을 살린 사례들이 많다. 미국 뉴욕의 하이라인파크(High Line Park), 영국 셰필드의 셰프 밸리(Sheaf Valley), 일본 도쿄의 도라노몬(Toranomon) 등이 대표적이다.

도시재생을 이끌어가는 주체는 정부·자체나·시민사회 등으로 다양하다. 그 중에서도 최근 지자체와·기업 등이 대학과 함께 도시재생 영역에서 협업을 하고 있어 눈길을 끈다. 대학생들의 참신한 아이디어가 도시재생 프로젝트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을 것이란 기대 때문이다.

서울시는 도시재생에 가장 적극적인 지자체다. 서울시에서는 대학과 함께하는 도시재생 프로그램이 있다. △캠퍼스 타운 △시티캠퍼스 △도시재생 마케팅 공모전 △도시재생 투어 등이다.

시티캠퍼스는 서울시와 시립대를 비롯해 사회적경제지원센터 등이 업무 협약을 맺고 종로 세운상가 보존을 추진하는 도시재생 프로젝트다. 도시재생 마케팅에는 KT&G가 참여해 대학생들의 아이디어를 공모 받고 서울시에서 이를 도시재생의 틀로 삼는다는 계획이다.

서울시 재생전략팀 한휘진 팀장은 “대학생의 참여로 생각지 못한 신선한 아이디어를 발굴 할 수 있고, 대학은 도시재생에 필요한 자원과 인프라를 제공한다”며 도시재생 사업의 의미를 설명했다. 서울시는 앞으로도 대학이 제공하는 공간과 전문연구 인력을 통해 지역에 더욱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다고 기대했다.

▲ 경남대는 창원시와 손을 잡고 거리문화축제를 개최하고 있다. 거리문화에 축제한 경남대 학생들이 기념촬영을 했다. (사진= 경남대 제공)

경남대는 창원시와 손을 잡고 창원지역과 쇠락한 마산 지역의 도시재생에 나서고 있다. 매년거리문화축제를 열고, 이 대학의 식품영양학과·교육학과 학생들이 참여한다. 이들은 전공을 살려 다양한 지역 메뉴 개발이나, 지역민 교육 등에 동참하고 있다.

경남대 도시재생 프로그램을 이끌고 있는 강재관 교수(기계공학)는 “마산지역이 많이 쇠락해, 이 같은 지역문제를 해결하면서도 학생들의 전공을 살릴 수 있는 방향으로 (도시재생)을 기획했다”며 “실제로 이 도시재생 프로젝트를 통해 원도심이 살아나는 효과를 얻었다”고 설명했다.

기업들도 사회공헌 실현이라는 차원에서 도시재생 사업에 뛰어들고 있다. KT&G가 진행하는 도시재생 프로젝트에도 대학생들의 참여가 빠지지 않는다. 수차례 지자체와 도시재생 사업을 연계 해오고 있는 KT&G는 지난여름 부산시와 함께 ‘부산시 도시재생 아이디어 공모전’을 진행했다. 부산 지역 부전천 복원과 관련해 대학생들의 아이디어 공모를 받아 도시재생 사업에 반영하겠다는 취지다.

전문가들은 대학과 지자체, 기업 등이 협업하는 도시재생의 흐름은 긍정적으로 분석한다. 다만 사업의 다각화나 내실 있는 계획수립 등 ‘알맹이’를 채우지 못하면 여느 사업들과 마찬가지로 지속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다.

조명래 단국대 교수(도시지역계획학)는 “대학이 지역사회에 참여한다는 데 의미가 있고, 취지도 좋다”고 평가하면서도 “사업의 내용이나 방식 면에서 대학의 참여가 보다 확대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자칫하면 대학이 사업을 통해 이익을 얻는 것에 그칠 수 있기 때문에 도시의 모습을 만드는 데 대학이 보다 적극적으로 기여해야 한다는 의미다.

배웅규 중앙대 교수(도시시스템공학)도 “노후 되고 쇠퇴한 지역에 젊은 활력을 불어넣는다는 측면에서 대학(생)의 참여는 바람직하다”며 “도시재생 사업이 지속성을 가질 수 있도록 지역 청년 일자리 확보 등 보다 세밀한 계획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