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상훈(성균관대 교육학과 교수·대학혁신과공유센터 센터장)

▲ 배상훈 성균관대 교수

■ACE 사업의 취지 = 대학의 사명은 교육·연구·사회봉사다. 그러나 언제부턴가 연구가 압도적으로 대학경쟁력을 표현한다고 여겨지기 시작했다. 대학평가지표에서 교수들의 연구성과와 실적·논문편수 등이 대학경쟁력을 대변하는 변수로 고착된 것이다.

평가결과가 곧 정부의 자원 배분으로 이어지니 대학에서는 경쟁력 정책을 연구 중심으로 갈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됐다. 분명 연구 중심 대학이 있고 교육 중심 대학이 있는데, 모든 대학이 연구 중심으로 방향이 모아졌다. 오랜 기간 동안 대학사회의 불균형이 있어 왔기에 대학(교수)들은 이를 해소할 대안에 목말라하고 있었다.

교육과 연구는 균형을 맞춰 발전해 가야 한다. 모든 대학이 연구중심대학일 필요는 없다. 교육에 주력할 수도 있고, 산학협력에 집중할 수도 있으며, 창업에 힘을 실을 수도 있는 것이다. 그러던 차에 정부에서 새로운 재정지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었고, 이를 활용한다면 교육에 무게를 두는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겠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

그렇게 만들어진 것이 ‘학부교육 선도대학(ACE; Advancement of College Education) 육성사업’이다. 대학이 자발적으로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운영체계를 혁신하도록 유도·지원함으로써 학부교육 선도모델을 창출하겠다는 목표를 담았다. 이른바 ‘잘 가르치는 대학’을 위한 기반을 마련해 교육 중심 대학을 확산하겠다는 취지다.

■ACE 사업의 모델 = 사업의 취지와 방향성을 제시했을 때 모든 대학, 모든 교수들이 환영했다. 대학 본연의 목적인 ‘교육’에 초점을 맞춘 재정지원 사업이었기 때문이다. 더욱이 ‘잘 가르치는 대학’의 모델을 만들되 내용과 방법은 대학 자율에 맡긴다는 것이 정부의 정책방향이었기에 설득력을 더했다. 교수들을 움직이게 한 것이 성공요인 중 하나다.

‘잘 가르치는 대학’의 모델을 만들 때 첫 번째 고민은 ‘어떻게 하는 것이 잘 가르치는 대학일까’였다. 사립대는 건학이념을, 국립대는 교육목표와 철학을 반영하는 게 중요한 포인트다. 예를 들어 성균관대는 ‘수기치인’에 따른 인재상, 서울여대는 플러스(+)형 인재, 한동대는 장인 공(工)형 인재, 건양대는 사람 인(人)형 인재상을 반영했다.

대학마다 건학이념·교육목표·인재상(핵심역량)이 있는 만큼 교육과정에 이런 기반들이 녹아들어 있어야 한다는 것이 ‘잘 가르치는 대학’ 모델의 핵심이다. 전공교육과정뿐 아니라 교양교육과정, 비교과 활동에까지 모두 투영토록 했다.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지가 결정됐다. 이어 어떻게 가르칠까, 즉 교수학습법에 대한 혁신이 뒤따랐다. 자연스럽게 우리 인재들이 잘 배웠는지 역량검증에 대한 요구가 생겼고,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교육의 품질관리가 이어졌다. 교육의 질적 성장의 기반을 탄탄하게 업그레이드해 주는 것이 초창기 ACE 사업의 모델이었던 셈이다.

■ACE 사업의 효과 = ACE 사업은 우수인재 양성 면에서 볼 때 교양기초를 단단히 하면서 여러 가지 역량을 기를 수 있는 가장 좋은 사업이다. 고등교육 생태계를 건강하게 하고, 우리나라에 필요한 우수인재를 기르는 데 도움이 된다. 특성화사업이 우수학과를 더욱 빛나게 지원해 준다면 ACE 사업은 학부교육의 전반적인 개선을 지원해 기반을 튼튼하게 해준다.

4차 산업혁명이 화두인데 이 시대에 가장 필요한 사업이 ACE 사업이다. 사회정서역량이 중요한 요구사항이기 때문이다. 공감하고 배려하며 협업하는, 말 그대로 인간관계를 잘하는 인재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는 전공학습만으로 길러지는 게 아니다. 교수학습법으로 팀 기반 프로젝트, 플립드 러닝 등을 권장하는 이유다.

ACE 사업에 따라 지방에서도 ‘잘 가르치는 대학’이 늘어나고 있다. 문재인정부가 추구하는 대학서열화 해소의 실마리가 되고 있다. 대학별로 연구·교육·산학·창업 등 특화 분야를 강화하다 보면 ‘가장 대학다운 방식’으로 대학서열화가 해소될 것이다. 지방대학육성, 지역균형발전과 함께 수도권집중도 자연스럽게 깨진다.

통계적으로 살펴보면 ACE 사업을 수행하는 대학들이 여타 재정지원사업 수주에도 성공할 확률이 높다. 대학교육 기반 전체를 탄탄히 해 미래를 대비하고, 재정지원 사업에도 유리하다는 점에서 한 대학교수 서베이에서 가장 환영받는 사업으로 꼽히기도 했다.

■ACE 사업의 성과 = 8년간의 사업 결과로 크게 세 가지 성과를 꼽을 수 있다. 첫 번째는 대학사회에 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불씨를 지폈다는 점이다. 대부분의 대학들은 교육의 중요성을 수십 년 동안 잊고 살았다. 잊혀진 가치를 전국 대학에 퍼뜨리는 계기가 된 것이 바로 ACE 사업이다.

두 번째 성과는 교수들을 끌어냈다는 점이다. ‘잘 가르치는 대학’이라는 사업은 교수들이 동참하지 않으면 추진될 수 없다. 사업을 통해 교수들이 가르치는 일에 헌신하도록 방아쇠를 당겼다.

셋째, 공유와 확산의 사업이라는 점이 큰 성과 중 하나다. 어떤 사업들은 몇 개 대학만 선정하기 때문에 반짝 효과에 그치고, 경쟁과 갈등을 유발하기도 한다. 그러나 ACE 사업의 경우 탈락한 대학들이 선발대학들을 따라가려 하지 시기질투하지 않는다. ACE 전국협의회 포럼, 대학 자체 포럼 등에 미선발 대학들이 참여해 우수사례를 공유하고 있다.

ACE 사업은 ‘잘 가르치는 대학’이라는 타이틀을 받을 수 있고, 학령인구 감소에 대비하면서 재정지원을 받을 수 있는, 이른바 ‘가성비 갑’인 사업이다.

■사업 전개 후 대학의 변화 = 여러 가지 성과가 있지만 무엇보다 ACE 사업이 만들어낸 가장 큰 성과는 ‘대학들을 고민하게 했다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잘 가르치는 대학을 만들기 위해서, 그 기준에 부합하기 위해서 인재상과 역량에 대해 고민하기 시작한 것이다. 교수와 교직원들이 모여 인재상을 고민하기 시작했고, 고민의 산물로 실체적 교육이 바뀌고 교수학습센터가 바빠졌다.

대학 및 교수들이 고민을 많이 한다는 사실은 곧 대학교육혁신센터로 설명된다. 대학 전반의 업그레이드를 어떻게 할 것인가를 고민하고 대안을 마련하기 위한 관련 기관이 전국 40~50개 대학에 설립된 것이다. 성균관대의 경우 매주 1~2개 외부대학이 찾아와 데이터 기반의 교육품질 관리 시스템 등 혁신센터의 우수사례를 묻고 벤치마킹하고 있다.

■공유와 확산…우수모델 수출 = 앞서 설명했지만, ACE 사업의 강점 중 하나는 공유와 확산이다. 성균관대·서울여대·한동대·건양대·대구가톨릭대 등 사업 초창기부터 8년여 동안 사업을 진행해온 대학은 그간 쌓아온 노하우들을 타 대학과 공유하고 확산하는 데 노력해야 한다. 정부에서 그런 역할을 해줬으면 좋겠다. 잘하는 것들은 알려줄 필요가 있다. 한동대의 우수한 팀제 활동이나, 서울여대의 우수한 여성인재 양성 사례를 공유해야 한다.

더불어 ACE 사업을 통해 만들어진 ‘잘 가르치는 대학’ 모델의 수출도 가능하다. 미국 동부의 아이비리그와 같이 한국에 가면 ‘ACE 대학’이 있다는 점을 널리 알려 교육개발사업, 국제개발 협력사업, 우리 대학모델 수출 등을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ACE 사업을 통해 교육 관련 전문가들을 많이 만들어낼 수 있었다. 건양대·대전대·한동대·대구가톨릭대 등에서 ACE 사업을 오래 담당했던 교수들은 이제 학부교육 혁신과 관련해 ‘선수’들이라 할 수 있다. 이들 전문가그룹을 확산해 대학교육혁신 포럼을 만들어, 정책에 대한 전문가적 조언을 지속적으로 전개할 필요가 있다.

 

<한국대학신문>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