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공학교육지원사업, 지역혁신인력양성사업, 연구현장 교육사업, 현장실습학점제인정사업, 그리고 최근의 산학협력중심대학사업. 한국산업기술재단의 대학 지원 사업은 사업 수나 지원금액면에서 상당한 수준이다. 특히 과학기술부 부총리 격상으로 응용연구 집행기능의 상당 부분이 산자부로 이전되면서 재단의 내년?대학지원 예산은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점차 대학경영에 있어 산학협력의 비중이 계속 늘어가는 추세이고 보면, 이제 재단의 존재는 한국과학재단이나 한국학술진흥재단에 못지않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지난 8월 말 재단 사무총장에 부임한 박봉규 사무총장으로부터 현재 추진하고 있는 대학지원사업을 중심으로 재단을 소개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 재단의 역할은 무엇인가. 실질적으로 재단을 이끄는 책임자로서 본인에 대한 소개를 해 달라. “학부에서는 법학을 전공했으며, 경영학으로 학위를 받았다. 산자부에서는 주로 무역과 통상 분야를 섭렵했다. 앞으로 부딪히면서 많이 배워야 할 것 같다. 재단에 대해 간략히 소개하자면, ‘산업기술기반 인프라를 구축하는 기관’이라 말 할 수 있다. 정부 특히 산자부의 업무를 대행하는 역할을 한다. 대학과 산업계를 이어주는 위치라고 보면 될 것 같다.” - 현재 재단이 추진하고 있는 대학관련사업에는 어떤 것이 있나. “재단에서 실시하는 사업은 크게 5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산업기술확산이다. 대한민국기술대전, 대학보유기술이전사업 등이 여기에 속한다. 둘째는 산업기술네트워크 구축으로 대학산업기술지원단 공동사무국의 운영 등이 이에 속한다. 셋째, 선진 기술혁신체제에 대한 연구 및 조사를 통해 국내 특성에 맞는 산업정책을 모색하고, 첨단산업·기술분야의 총체적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산업기술정책연구이다. 넷째는 산업기술인력양성사업이다. 아마도 대학과 가장 밀접한 사업이 아닌가 한다. 현재 진행중인 것으로는 CEO 공학교육지원사업, 지역혁신인력양성사업, 연구현장교육연수사업, 창의적 공학교육 프로그램개발 및 확산지원사업, 산업기술인력수급동향 통계시스템구축, 국가기술인력지도 작성, 현장실습학점제인정사업 등이 있다. 다섯째는 국제협력으로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해 각종 해외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 - 사업수나 지원되는 예산에 비해 재단에 대한 인식이 낮은 편이다. “출범한지 3년 정도 밖에 안돼서일 것이다. 과거 대학교육은 공급자 중심이었다. 교수님들도 혼자 연구하는 분위기가 여전하다. 그러나 대학이 대학사회에 안주해 있는 동안 정원역전 등 대학간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기업에서 필요로하는 인력을 배출해야 좋은 대학이 될 수 있는 상황이다. 예전에는 대학에 있어 교육부와 과기부가 가장 밀접한 정부 부처였다. 산자부 기업의 능력에 관여하는 부처다. 앞으로는 대학이 산자부와 재단과 함께 할 일들이 늘어날 것이다. 재단도 사업수요자인 대학들에 서비스하는 곳으로 다가갈 것이다. 이것이 사회적 흐름이라고 본다.” - 사업 중 향후 중점적으로 추진하려고 하는 부문은. “할 일이 많아졌다. 현재는 산학협력의 국내 성공사례들을 만들려고 한다. 정부의 화두가 지역역량강화다. 지역의 중심은 지역 산업이고 지역산업의 핵심은 지역대학이다. 곧 지역대학의 발전이 지역역량강화의 필수 조건인 것이다. 재단은 직접 수요자를 만나기 때문에 여러 아이디가 나올 수 있다. 충실히 정부정책을 집행하고,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할 것이다.” - 현재 이공계 문제는 어떻게 보나. “개인적으로는 이공계 나아지고 있는 시기라고 본다. 지금 이공계로 진로하면 괜찮을 것이다. 우리집 아이도 공대를 보내려고 한다. 이공계 문제는 타 분야에 비해 잘 된 것을 보여주면 된다고 생각한다. 의사나 약사보다 돈을 많이 벌고 안정되게 하면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회가 합심해야한다.” - 대학사회에 바라는 것이 있다면. “대학에 시장원리가 좀더 도입돼야 한다. 우리나라 특허 출원수는 세계 3위다. 그러나 부자됐다는 소리는 못 들었다. 다시말해, 시장이 원하지 않는 기술이 많다는 것이다. 이제는 시장이 필요로 한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또 학교기업들이 최근 생기고 있다. 기술개발도 필요하지만, 마케팅 능력도 중요하다. 모든 대학이 다 그렇게 할 수는 없을 것이다. 연구중심대학을 제외한 일반대학의 경우가 그렇다는 것이다. 또 대학간 학과간 경쟁 평가시스템이 정착됐으면 좋겠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