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 정성평가로 선발…신산업 교육 선도모델 ‘일관성’ 중요
“5개 권역별로 반드시 1곳 뽑겠으나 우수한 곳 우선해 선정”

“필요한 사업” 호평 한편에는 불명확함‧지속가능 여부 우려도

▲ 16일 한국연구재단에서 열린 LINC+ 4차산업혁명 혁신선도대학 사업 설명회에서 김우정 교육부 산학협력정책과장이 확정된 사업 계획을 참석자들에게 발표했다. (사진=한국연구재단)

[대전=한국대학신문 김정현 기자] “‘혁신선도대학’은 교육과정, 방법, 환경 세 분야에 대한 혁신을 지향하는 사업이다. 저도 교수였던지라 대학이 해내기 힘들다는 것을 안다. 저는 학부모이기도 한데, 학생들이 변화하는 사회에 적응하도록 실제 도움이 되는 역량을 길러주는 모델을 만들어주길 부탁드린다.”

16일 대전 한국연구재단 연구관 대강당. 전국의 사회맞춤형산학협력선도대학(LINC+) 사업단 관계자들이 200석의 자리를 모두 채운 가운데 류동민 한국연구재단 학술진흥본부장이 이 같이 당부했다. 이날 교육부가 주관하고 한국연구재단이 주최한 ‘LINC+ 4차 산업혁명 혁신선도대학’(이하 혁신선도대학) 사업 계획서 작성 설명회를 듣기 위해서다.

이 사업은 LINC+ 대학 중에서도 산학협력고도화 유형에 선정된 55개 일반대만 지원할 수 있는 '별들의 전쟁'이다. 이 날  류 본부장을 비롯해 교육부, 한국연구재단 관계자들은 사업에 선정되기 위한 조건과 목표를 보다 구체적으로 언급했다.

교육부 설명에 의하면 대학이 사업에 선정되기 위해서는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할 ‘신산업’ 분야 한 개를 선정하고 여기에 맞는 인재를 길러내기 위한 교육 과정, 방법, 환경의 개선 방안을 일관성 있게 엮어내야 한다. 평가 과정에서는 일관성 속에서 계획이 적절하고 타당한지를 보겠다고 했다.

선택과 집중을 위해 유망 신산업은 하나만을 택해야 한다. 교육부는 다보스포럼(세계경제포럼, WEF)이 제시한 10대 유망 기술인 △인공지능 △뇌과학 △핵융합 △양자컴퓨터 △자율주행차 △우주발사체 △휴머노이드로봇 △가상현실 △웨어러블 기기 △헬스케어·바이오를 예시로 들었으나, 다른 것을 선택해도 좋다. 이 같은 신산업에 적응할 수 있는 융합, 창의, 전문성, 문제예측 등 핵심 역량을 어떻게 길러낼지를 보여야 한다는 것이다.

교육부가 이날 참여 요건을 제시했지만 구체적인 내용과 방식은 대학이 갖고 있는 가용 자원 속에서 ‘창조’해야 한다. 성과 관리와 지표도 대학이 직접 만들어야 한다. 전적으로 대학의 가용 자원 내에서 자율성을 최대화한다고 할 수 있지만, 100% 정성평가로 선발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대학에 창의력 있는 답안지를 주문한 것이다.

먼저 사업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이 사업을 전담할 위원회나 분과를 운영해야 한다. LINC+ 운영위원회나 교육관련 위원회 안에 별도 분과를 설치해도 된다. 이 위원회에는 반드시 무기계약직 이상 사업 전담 직원을 한 명 이상은 배치해야 한다. 인건비는 별도 지원되지 않는 대신, LINC+ 예산 중 대학사업비 항목에서 지급할 수 있도록 했다.

주관학과와 참여학과를 선정해야 하나 주간 과정에서 운영되고 있는 정규 학과여야만 한다. 이와 함께 학과 정규 교과로 4차 산업혁명 기초교과, 전문교과를 편성해 많은 학생들에게 개방해야 한다. 연계전공을 개설하고 학점을 인정토록 하는 개념을 상정한 것이다.

과거 산업연계교육활성화선도대학(PRIME) 사업을 의식했던 듯, 학과 구조조정이 아닌 ‘유연화’에 방점을 찍었다. 이 사업을 위해 학과를 개편하거나 가상학과를 이용하면 안 된다. 대신 주관학과 외 참여하는 학과가 없으면 교원이 개인 자격으로 참여할 수 있다. 신산업 교육역량과 맞으면 모든 게 가능하다는 것이다.

교수들의 참여를 독려하기 위해서 교수법을 개발할 경우 교원업적평가에 인센티브 형식으로 반영해야 한다. 유관 산업분야 재직자 교육과정도 마련해야 한다. 자체적인 사업관리, 성과평가 기준과 자율성과지표도 만들어야 한다. 검증 과정에서 산업체 관계자가 참여하는 평가 부서를 두고, 이를 교육과정·기획을 담당하는 실무 부서와 분리해야 한다.

▲ 사업 계획서 작성 설명회에 참석한 대학 LINC+ 사업단 관계자들이 자료집을 살펴보고 있다. 이날 설명회에는 200여명이 참석해 성황을 이뤘다.(사진=한국연구재단)

교육부는 한국연구재단을 통해 내달 13일 오후 5시까지 계획서를 접수받는다. 2월 말까지 서면평가로 15개 대학을 선정한 뒤, 오는 3월 6일~9일 사이에 대면평가를 진행할 계획이다. 더불어 한국연구재단은 이날 LINC+ 사업 1차년도 연차평가 보고서 접수날짜를 3월 16일로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사업을 준비하는 대학 사업단 실무진은 이를 고려해 일정을 세워야 할 것으로 보인다.

서면ㆍ대면평가를 위한 패널 평가단은 한국연구재단이 꾸린다. 평가지표 전체를 정성평가로 구성하며, 70점 미만일 경우 탈락한다. 단, 교육과정·방법·환경 혁신 평가에서 배점의 반 이상을 획득하지 못하면 과락으로 떨어진다. 한국연구재단 산학협력지원팀의 김창호 과장은 “권역별로 1개 대학을 무조건 선정하겠다. 다만 탁월하게 우수하다면, 극단적인 경우에는 한 권역에 6곳이 몰릴 수도 있다”고 밝혔다.

설명회 직후 이어진 질의응답 시간에는 사업의 지속 가능성을 묻는 질문이 많았다. 올해 선정된 대학이 10억원을 받지만, 내년에는 어떻게 될지 모르는 만큼 예산 계획을 명확히 해달라는 것이다. 이에 김수정 교육부 산학협력정책과 사무관은 “1차년도(올해) 성과가 중요한 만큼 늦어도 2학기에 사업을 개시해야 한다. 사업은 확대를 목표로 예산 확보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질의응답이 끝난 뒤 사업단 관계자들은 대학이 가용한 자원 안에서 최대한의 자율성을 부여한다며 호평을 했지만 “한 학기만에 성과를 내놓는 것은 어렵다”는 우려를 표하는 이도 있었다. 또 주관학과의 지난해 재적 학생 수를 프로그램 참여 학생 수 기준 ‘스펙’으로 제시해야 하다 보니, 최근에야 신설 학과를 만든 대학들 사이에 불안해하는 모습도 읽혔다.

강원권 한 대학의 LINC+ 사업단에 참여하는 교수는 “우리 대학은 지난해에야 관련 학과를 신설했는데, 처음에는 재적생이 없으니 전자공학과를 주관 학과로 신청할지도 고민했다. 교육부가 신설 학과도 참여가 가능하다고 하니 검토해 보겠다”며 “4차 산업혁명을 이끄는 학과가 참여하는 게 중요하지 않겠나”고 말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