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학협력단에 없던 CTO 거버넌스 구축도 대학들 고민거리

교육부 구축 예정인 대학간 기술 융‧복합 DB
기업비밀 보호로 공개 여부 향후 쟁점 될 듯

▲ 브릿지플러스 사업 설명회가 6일 한국연구재단 서울청사 대강당에서 열렸다. 평가지표와 사업계획서 작성법 설명을 들은 대학 산학협력단 관계자들은 자율에 맡겨진 정성지표에 대해 질문을 쏟아냈다. (사진=김정현 기자)

[한국대학신문 김정현 기자] 정성지표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2주기 대학창의적자산실용화지원(BRIDGE⁺, 이하 브릿지플러스) 사업 선정 평가를 돌파하기 위해서는 특허 기술에 이어 노하우, 아이디어를 포함하는 대학만의 차별적인 창의적 자산을 찾는 ‘기획력’을 보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현재 갖고 있는 기술을 적시하라는 것이 아니라, 대학 특성화 전략에 부합하는 맥락에서 특성화 기술을 찾아나갈 계획을 말한다.

또 하나의 열쇠인 최고기술경영자(CTO)를 두고도 구체적인 예시 답안이 제시되지 않아 대학들이 고민할 것으로 보인다. 기술이전 실무를 총괄하는 거버넌스를 구축하겠다는 게 교육부의 구상이나, 현재 기술이전 실무를 처리하는 체계가 대학마다 상이하고 분산돼 있어서다. 대학, 기업을 넘나들며 사업화에 나서야 하는 ‘올라운드(All-Round)’형 인물을 찾는 것도 숙제다.

교육부는 6일 서울 양재동 한국연구재단에서 브릿지플러스 사업 설명회를 열고 사업단 선정을 위한 평가지표와 사업계획서 작성 방법을 발표했다. 이날 150여명을 수용할 수 있는 대강당에는 대학 산학협력단 관계자들이 2층까지 들어차 성황을 이뤘다.

교육부는 지난해 12월 열린 브릿지플러스 사업 공청회에서 나온 대학가의 비판을 수용해 1차 평가 정량지표를 50%에서 30%로 줄이고, 성과 총량 지표 대신 투자 연구비 대비 성과를 포함시켰으며 선정 대학 수도 12개에서 18개로 늘렸다. 1주기 사업단 48개가 18개로 줄어드는 대신 이들을 선도 사업단으로 만들고, 기존 사업단과 협력토록 하는 상생구조를 만들어 보완하겠다는 것이다.

최태진 한국연구재단 산학협력지원실장은 기자에게 “대학이 가져간 사업비 15% 이상을 타 대학과 협력하는 데 사용해야 한다. 실용화를 위해서는 추가 연구개발(R&BD)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 또한 공청회 당시에는 없던 내용”이라고 설명했다.

정량지표가 줄어든 만큼 정성지표가 늘어나 교육부의 평가 의도가 대학 관계자들의 주 관심사가 된 터였다. 1차 평가 총점 중 35점(정성평가 중 50점)을 차지하는 지표는 실용화 전략이다. 창의적 자산 △발굴‧기획(25점) △고도화(15점) △기술사업화(10점)로 구성된다.

즉 브릿지플러스 사업의 취지대로 대학의 창의적 자산을 어떻게 실용화할 것인가, 기업‧타 대학과 어떻게 협력할 것인가를 묻기 위한 것이다.

교육부 설명을 종합하면 이 지표는 대학이 갖는 자산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어떻게 실용화할 지 계획을 세우면 된다. 특히 기획 역량, 추진 계획에는 대학마다 제시할 수 있는 특성화 강점과 대학이 수용할 수 있는 실적을 제시해야 한다. 쉽게 말하면 지역적 특성 내지는 특성화 전공과 같이 대학이 특이점을 보이는 자산을 설명하고 이를 기반으로 주변 기업, 연구소와 어떻게 협력해 나갈지를 기술하라는 것이다.

실무 담당자인 이재용 교육부 산학협력정책과 사무관은 “최종 수요 발굴이 어떤 기술을 만들겠다는 수준의 물건을 제출하라는 것이 아니다. 사업계획서를 30일 내에 제출해야 하는데 그 동안 어떤 기술을 발굴할지 알 수 있다는 건 어렵기 때문이다”고 덧붙였다.

▲ 김우정 교육부 산학협력정책과장은 6일 한국연구재단에서 열린 브릿지플러스 사업 설명회에서 사업 목표를 재차 강조했다. 그는 "대학이 보유한 우수 기술을 사업화까지 지원해 실용화하는 것, 실용화 조직의 전문성을 강화하고, 지속적으로 더 나은 성과를 얻을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사진=김정현 기자)

그렇다면 타 기관과의 협력은 어떻게 작성해야 할까. 교육부는 사업단과 대학, 기업 간 파트너십을 구축하기 위해 대학 창의적 자산을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DB)인 ‘오픈 커뮤니티’를 구축할 계획이다. 현재는 DB가 구축돼 있지 않지만, 이 DB를 중심으로 기술정보를 상호 교류하고 정보를 개방, 공유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에 대해 이날 “기업 비밀을 공개하는 것이 될 수 있다”며 우려를 표한 대학 관계자도 있었다. DB 공개 범위를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향후 쟁점이 될 수도 있는 대목이다.

브릿지플러스 사업의 또 다른 열쇠는 최장 5년의 사업기간 동안 기술사업화 실무를 안정적으로 총괄 수행할 수 있는 CTO 거버넌스다. 대학이 구상한 CTO 거버넌스는 정성평가 중 15점을 차지하는 전담조직 지표의 ‘전문인력’에서 평가된다. 제시된 것은 두 가지다. 분산된 기술사업화를 총괄할 수 있을 것. 5년 동안 여기저기로 흩어지지 않는 안정성을 확보할 것.

교육부가 이를 전적으로 대학 자율에 맡긴 만큼, 설명이 끝나고 나온 대학 측 질문도 CTO와 관련된 것이 3할을 차지했다. 보직을 만들어야 하는 것인지, 사람은 교수를 원하는 것인지, 실무자를 원하는 것인지, 돌아온 답은 “모두 대학의 자유”였다. CTO를 비롯한 기술사업화 전담조직의 위상과 역량을 강화할 수 있다면 무엇이든 해 보라는 것이다.

이날 참여한 한 서울권 산학협력단 관계자는 “이해하기는 했지만, 새로운 거버넌스를 만들라는 것이라 대학들이 당황한 것 같다”고 설명했다. 한 지역중심국립대학 관계자는 이를 두고 “대학에서도 실무 이해가 있어야 하고, 기업과 소통하면서 실질적인 사업화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사람을 찾는 것도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리를 놓게 될 18개 대학은 어디가 될 것인가. 교육부는 한국연구재단을 통해 사업계획서를 오는 3월 5일 제출받을 계획이다. 1단계 서면평가(정량 30, 정성 70)는 그 달 말에, 2단계 대면평가(100% 정성)는 4월 초에 있을 예정이다. 이후 최종 심의를 거쳐 4월 중순에 선정 대학을 발표한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