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롯데시티호텔서 포럼…교육부·한국연구재단·44개 참여대학 등 참석

LINC+사업단 세부 영역별 우수사례 발표 “정보 공유 통해 발전…상생하는 전문대학 사회 구축”

▲ 제주에서 열린 성과확산 포럼에는 미참여대학 관계자까지 참여하는 등 열기가 뜨거웠다.

[한국대학신문 천주연·김의진 기자]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 전문대 LINC+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전문대학(LINC+)협의회가 공동 기획한 ‘2017년 LINC+ 사회맞춤형학과 중점형 성과확산 포럼’이 지난달 25일부터 이틀간 제주 롯데시티 호텔에서 열렸다.

이날 포럼에는 교육부 엄중흠 일자리총괄과 사무관과 권기환 한국연구재단 교육기반지원실장, 박남석 전문대 LINC+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전문대학(LINC+)협의회장 (충북보건과학대학 교) 김차근 LINC+ 고도화형 사업단협의회장(한국영상대학교), 권재길 NCS거점센터 운영협의회장(창원문성대학교)을 비롯해 전국 44개 참여대학 사업단장, 그밖에 LINC+사업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는 미참여대학 관계자 등 500여 명이 참석해 큰 관심을 보였다

박남석 협의회장은 환영사에서 “‘황금 개띠의 해’인 무술년의 기운을 받아 전국 전문대학 사업단의 건승을 기원한다”며 “직접 포럼을 위해 제주까지 찾아 주신 미참여대학 관계자들을 위해서라도 44개 참여대학들의 우수사례를 교류하고 앞으로의 발전방안을 함께 고민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박 회장은 이어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해 전국의 전문대학들은 교육 혁명 등 수많은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며 “이에 대한 해답은 사회맞춤형 사업이라 확신한다. LINC+ 사회맞춤형 사업이 더욱 발전할 수 있는 데 큰 힘을 보태주길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교육부를 대표해 참석한 엄중흠 사무관은 사업을 시작한지는 얼마 지나지 않았지만 성과와 한계가 명확하게 분석되고 있다는 데에 의미를 부여했다. 포럼이 보다 좋은 모델로 발전되는 데 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는 기대감도 전했다.

엄 사무관은 “일자리 미스매치로 대표되는 기업체와 대학의 불만을 해결하기 위한 해법을 마련하기 위해 출발한 사업이 LINC+였다”며 “대학 교육 과정에 산업체가 들어오는 과정에서 높았던 벽을 낮추기 위한 부분을 가장 많이 고민했다. 앞으로 더 좋은 사업 모델로 발전하기 위해서라도 이번 포럼에서 많은 아이디어가 도출돼 공유의 장이 되길 바란다”고 기대했다.

44개 참여대학의 성과를 공유한다는 점이 이번 포럼의 가장 큰 결실이 될 것이라는 의견도 나왔다.

권기환 한국연구재단 실장은 “이번 포럼은 그동안 대학서 지난해 사업의 성과를 이야기하며 공유하기 위해 마련된 자리”라며 “그런 측면에서라도 진짜 잘한 대학들은 정보를 많이 나눠주고 갔으면 한다. 상생하며 발전하는 전문대학 사회가 만들어지길 원한다”고 당부했다.

이어 LINC+사업단의 세부 사업 영역별 우수사례가 발표됐다.

1섹션인 ‘사업 비전과 학과 구성 및 산업체참여 성과’에는 거제대학교·백석문화대학교·서영대학교·수성대학교·안동과학대학교·오산대학교·울산과학대학교·인천재능대학교·전남과학대학교·전북과학대학교·제주관광대학교 등이 발표했다.

2섹션 ‘사회맞춤형 교육과정 개발·운영 성과’서는 강동대학교·경북전문대학교·대원대학교·부산과학기술대학교·부산여자대학교·조선이공대학교·부천대학교·순천제일대학교·연성대학교·전주비전대학교·충북보건과학대학교 등이 사례를 공유했다.

3섹션인 ‘교육품질 관리 성과’에는 가톨릭상지대학교·대구과학대학교·대덕대학교·대림대학교·대전과학기술대학교·동서울대학교·동양미래대학교·부산경상대학교·신성대학교·영진전문대학·인하공업전문대학 등이 우수사례를 나눴다.

4섹션 ‘사회맞춤형 인프라 구축 및 지표 성과’서는 경남도립남해대학·경복대학교·계명문화대학교·구미대학교·동주대학교·두원공과대학교·영남이공대학교·우송정보대학·유한대학교·한림성심대학교 등이 발표했다.

이튿날인 26일에는 교육부의 LINC+사업 등 정부 재정지원사업 개편 방안, 한국연구재단의 LINC+ 사회맞춤형학과 중점형 사업 사업비 예산편성 및 집행기준 등에 대한 발표가 이어졌다.

엄중흠 교육부 사무관은 이날 정부 재정지원사업 개편 방안에 대해 설명하면서 LINC+사업은 이를 통해 오히려 더 추진 동력을 얻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엄 사무관은 “2019년에 정부재정지원사업의 전반적인 개편이 있다. 중구난방으로 상당히 많은 가짓수의 사업이 있다는 지적을 받아 일반재정지원사업과 특수목적사업으로 크게 나눈다. 특수목적사업 중에서 3~4가지 큰 카테고리를 정리하는 안이 논의되고 있다. 확실한 건 특수목적사업 중 LINC+는 그대로 간다는 것이다. 확대됐으면 됐지 절대 축소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LINC+ 사회맞춤형학과 중점형 사업의 폐지설에 대해 일축했다.

이어 “이 사업에 대한 추진 여건은 상당히 좋은 것 같다”면서 “지금 정부에서 가장 강조하는 부분이 청년 일자리 창출이다. 채용 협약을 한 상태에서 산업체와 공동으로 교육과정을 개발, 운영해 채용까지 이어지기 때문에 현 정부에서 상당히 좋아할 수 밖에 없는 사업이다. 기재부와 일자리위원회 등에서도 이 사업에 관심이 많다. 이 사업 추진에 대한 동력은 점점 더 크게 얻을 수 있을 것 같다”고 덧붙였다.

2018년 중점 추진과제로는 △성과지표 성과관리방안 체계화 △대학의 중장기 발전계획 내 사회맞춤형학과 중점형 발전계획 포함 △사회맞춤형학과 중점형 참여하는 교직원들의 인센티브 강화 △사업단장의 위상을 교무위원급으로 승격 △사업단 전담 직원들의 교육역량 강화 등을 꼽았다.

특히 1차년도의 경험을 기반 삼아 산업체의 직무수요를 기반으로 한 교육개발 체계를 닦아나가고 체계화시키겠다고 강조했다. 또한 1차년도에 각 대학에서 운영했던 사회맞춤형학과 중점형 교육과정에 대한 자체 평가도 요청했다. 그에 대한 결과물을 2차 교육과정에 보완, 반영해달라는 것이다.

참여 산업체의 경우 법률적으로 세액공제가 가능해졌다고 설명했다. 엄 사무관은 “협약 산업체의 인센티브를 추가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으로 산학협력 마일리지를 고민하고 있다”면서 “일자리위원회에서 회의하며 의견을 제시한 부분이 있지만 사업에 참여하는 협약산업체뿐만 아니라 정부의 다양한 사업에서 대학과 같이 하는 산학협력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기업을 대학에서 추천받아 정부에서 공인하는 기업으로 선정, 각 부처에서 인센티브를 줄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해보자고 했다. 고용부에서도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2차년도에는 좀 더 1차년도의 성과와 추진실적, 추진과정에 대한 모니터링을 바탕으로 학교별 일대일 컨설팅을 해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이를 통해 사업의 수준을 전반적으로 끌어올리겠다는 계획이다. 다양한 방면의 전문가들로 종합 컨설팅단을 구성할 예정이다.

엄 사무관은 “올 한해가 이 사업의 성공과 실패가 관건이 되는 한해”라면서 “한국연구재단, 대학, 사업단이 팀을 이뤄 잘 수행해나가자”고 독려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