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현지 기자

[한국대학신문 주현지 기자] 청년들이 지방을 떠나고 있다. 지역에서의 열악한 고용 상황으로 젊은이들이 수도권으로 향하는 것은 최근 더 두드러지고 있는 추세다. 통계청의 ‘2017년 연간 국내인구이동 결과’에 따르면 20대 청년층들의 순유출 비율이 전남(-3.5%), 전북(-3.2%), 울산(-2.8%) 등 수도권을 제외한 지역에서 타 연령대에 비해 더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산업 발전의 주춧돌이 될 청년층의 인구 감소와 경제활동인구의 노령화가 가속화되면서 지역의 존속은 위협받고 있다. 얼마 전에는 전국 228개 지자체 중 3분의 1 이상은 30년 후 소멸될 수 있다는 한국고용정보원의 연구 결과까지 나온 바 있다.

이처럼 청년 유출 문제가 심각해지자 문재인정부는 지방 소멸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지방분권을 내세우고 핵심 국정 과제로 추진 중이다. 정부의 가장 대표적인 지방분권 강화책으로는 ‘지역 공공기관의 지역인재 채용 목표제’가 있다.

지역 청년이 그 지역 공공기관에 취업할 수 있도록 비율을 할당하는 것이 청년 유출을 막을 수 있는 당장의 방책이 될 수는 있겠다. 하지만 청년 인구 절대 수가 감소하고, 미래 직업군의 변화가 예상되는 시점에서 지역 청년들을 대상으로 단순히 일자리의 수를 늘리는 것이 장기적인 해결책이 되기에는 어려워 보인다.

또한, 지자체들은 지역 청년들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들을 내놓고 있지만 역시 한계를 안고 있다. 지자체별로 독자적인 사업을 진행하고, 단기성 금전적 지원에 치우치다 보니 정책의 연속성이 떨어진다는 비판도 많았다.

지역을 등지려는 청년층의 마음을 움직이기 위해 중장기적인 계획이 절실한 지금이다. 하지만 6·13지방선거를 앞두고 지역 청년들을 위한 정책은 찾아보기 어려운 것이 퍽 아쉽다.

이제 정부 차원에서 주도적으로 지역과 청년층을 함께 살리기 위해 나서야 한다. 향후 우리 사회의 인력 수급이 더 필요한 분야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는 것이 우선 필요하며, 그 결과에 따라 중앙정부와 지자체들이 협력해 지역 청년들을 위한 최적화된 정책을 내놓아야 한다. 현재까지의 청년 정책이 가진 오류와 실패를 되새기고, 앞으로 청년 유출을 막기 위한 로드맵을 그려나가야 한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