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대학신문 장진희 기자] 대학 내 총여학생회가 또 한 번 존폐의 기로에 서게 됐다. 지난 13일부터 연세대에서 ‘총여학생회 재개편 요구’ 학생 총투표가 시작됐다. 투표 결과에 따라 총여학생회가 사실상 폐지될 수도 있는 상황이다. 한양대 총여학생회는 지난 3월 일부 공약을 두고 논란이 일어 예정됐던 선거가 무산되기도 했다. 총여학생회가 남아 있는 대학은 간신히 손에 꼽을 수 있을 정도로 그 존재 자체가 위협받고 있는 상황이다.

학생들 사이에서는 “대학가 총여학생회 폐지 논란은 하루이틀 일이 아니다”라며 올 것이 왔다는 식이다. 실제로 대학가에서는 총여학생회의 존재 자체에 대한 문제제기가 ‘남학생에 대한 역차별이 아니냐’며 수년 동안 반복되고 있다. 그렇다면 총여학생회는 정말 ‘여성’의 인권만을 보장하기 위한 기구일까? 총여학생회의 존재에 대한 의구심을 떨치기 위해서는 총여학생회 탄생 이후의 행보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대학가 ‘미투(Me Too)' 운동이 한창인 지금, 일찍이 대학 내 성폭력을 예방하고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고민해왔던 것이 바로 총여학생회다. 1980년대 이후 사회 곳곳에서 여성 운동이 활발해지며 대학 내에는 총여학생회가 속속 등장하기 시작했다. 이후 1990년대에 들어서는 총여학생회가 대학 내 성폭력 사건을 본격적으로 공론화하고, 반(反)성폭력 문화를 확산시키는 데 일조했다. 2000년대에는 총여학생회가 본격적으로 지금은 어느 대학에나 있는 ‘반(反)성폭력학칙’을 정착시켰고, ‘2001년 서강대 김 교수 성폭력 사건’을 계기로 각 대학의 총여학생회가 힘을 모아 학내 성상담센터를 설치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그리고 2018년의 총여학생회는 여전히 대학 내 성폭력을 해결하고, 여성을 포함한 다양한 소수자 인권을 대변하기 위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특히 대학 내 성폭력 사건으로 함께 불거진 지도교수의 무소불위의 권력 행사는 여학생, 남학생을 가리지 않고 벌어지는 문제다. 결국 총여학생회가 지향하는 바는 다양한 학내 소수자들이 겪는 불평등 문제 해결에 있다. 이를 결코 여학생들‘만’을 위한 운동이라고 할 수는 없을 것이다. 총여학생회의 운동은 궁극적으로는 불평등한 구조 완화에 있기 때문에 남학생들에게도 도움이 되는 움직임이다. 무조건 총여학생회 폐지를 주장하기 전에 총여학생회의 존재 의미를 돌아봐야 할때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