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대학기본역량진단 1단계 가결과 발표가 있기까지 교육부가 보인 ‘폐쇄적’ 행정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생존이 걸린 문제인 만큼 대학가에서는 대면평가 이후 1차 발표 날짜를 목이 빠지게 기다려왔다. D-day는 무리더라도 몇 주 차에 나오는지만 알려달라는 요청이 많았다. 그럼에도 교육부는 “날짜를 못 박으면 행정에 무리가 올 수 있다”는 이유를 들어 침묵으로 일관했다. 그 사이 소문은 소문을 낳으면서 대학가에는 혼돈과 초조함이 가득 찼다. 심지어 18일 한국교육개발원이 20일에 결과를 알 수 있다는 공문을 보냈음에도 같은 날 대학구조개혁위원회가 열린다는 사실이 뒤늦게 알려지며 공문과 상관없이 18일에 결과가 통보될 수 있다는 유언비어가 퍼졌다. 대학 평가팀 관계자들은 18일 퇴근 시간 후에도 기약 없는 통보를 기다려야 했다.

20일에도 혼란은 이어졌다. 대학 명단 공개 없이 인터넷 페이지에서 자기 대학 성적만 확인할 수 있게 되자 전국의 모든 대학들은 대학별 현황 취합에 달려들었다. 대학 기획팀이 이날 하루를 대학별 현황 취합에 소모한 것이다.

서로의 점수를 알지 못하는 대학가에서는 내가 받은 점수가 어느 정도 위치인지 가늠하지 못했다. 그 결과 수도권에 자율개선대학을 몰아줬다는 의혹, 특정 대학을 구제하려 했다는 의혹 등이 여전히 대학가를 맴돌고 있다.

교육부는 대학 명단이 공개되면 낙인효과 때문에 2단계 진단 준비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는 입장이지만 대학기본역량진단은 느낌과 관념으로 하는 게 아니라 지표와 객관적·전문적인 심층 평가를 통해 이뤄지기 때문에 설득력이 없다. 오히려 예비 자율개선대학의 명단과 점수가 공개된다면 2단계 진단을 준비하는 대학들의 모범사례와 참고자료가 될 수도 있다.

교육부는 이의신청과 2단계 진단, 부정·비리 대학 제재를 거쳐 오는 8월 말 최종 결과를 발표하겠다고 했다. 지금과 같은 방식이라면 대학은 또 다시 하염없는 기다림과 초조함에 시달리고 평가 후에도 시시비비가 붙을 것이 뻔하다. 그 사이 대학 본연의 역할인 연구와 교육은 뒷전으로 밀린다. 교육부의 이같은 ‘깜깜이’ 행정은 전형적인 편의주의적 발상이다. 교육부는 투명한 절차와 예측 가능한 행정으로 더 이상 대학을 혼란스럽게 해서는 안될 것이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