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졸자와 임금격차 줄고 기대소득도 적어

대학 진학에 들이는 비용만큼 기대소득이 많지 않아 '수지맞는 장사'가 안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와 눈길을 끌었다. 한국노동연구원 안주엽 연구위원은 3일 서울대 호암회관에서 열린 '한국노동패널 학술대회'에서 '고등교육에 투자할만 한가?'라는 연구보고서를 통해 이 같이 주장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03년 노동패널 1만4천9백61명을 대상으로 기대소득을 추산한 결과 60세 정년인 남자 고졸은 2억1천4백69만원, 전문대졸 2억2천3백67만원, 대졸 2억6천6백13만원 등으로 나타났다. 기대소득은 정년 안에 취업했다가 일자리를 잃을 수 있는 가능성을 감안한 평균 취업기간과 시간가치에 대한 감가상각 등을 고려한 것이다. 이에 따라 고등교육 기관인 전문대 졸업자는 고졸자에 비해 8백98만원, 대학졸업자는 5천1백44만원 등의 '교육수익'을 올릴 수 있는 것으로 추산됐다. 그러나 4년제 대학의 경우 등록금을 포함한 전체 교육비용은 5천5백85만원으로 집계돼 이미 대졸자의 교육수익을 초과하는 결과가 나왔다. 더욱이 대학 진학을 위한 사교육비까지 포함한 전체 교육비용은 6천9백39만∼8천2백93만원으로 추산돼 교육수익을 1천만∼3천만원이나 웃도는 '적자'를 낼 수 있을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전문대 졸업자의 고졸대비 상대임금 수준은 1983년 1.397로 고졸보다 40%가까이 높았으나 1993년에는 1.097로, 2003년에는 1.038로 고졸 임금 수준에 근접해가고 있다. 대졸자의 상대임금 역시 1983년에는 2.266이었으나 1989년 1.912, 1994년 1.558 등을 기록한 뒤 1.5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안 연구위원은 "과거에는 대학 진학이 대체로 상응하는 보답을 받았으나 최근에는 산업구조 변화와 대졸자 공급 과잉 등으로 사정이 바뀌고 있다"며 "무턱대고 '대학에 가고 보자'는 의사결정이 보상받지 못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연합)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