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른바 '이공계 위기' 현상을 진단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정책토론회가 25일 국회 헌정기념관에서 열렸다. 진영 국회의원(과기정위) 주최로 열린 이날 토론회에는 조현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연구위원, 김종득 한국과학기술원 교수, 이병욱 전국경제인연합회 산업조사실장 등이 발표자로 참석해 열띤 공방을 벌였다. 최석식 과기부 차관은 축사에서 "국내 대학에서 이공계를 전공한 사람의 규모는 선진국에 비해 뒤지지 않으나 기업, 연구소, 대학에서는 인재를 찾아 해외로 발길을 돌리는 '풍요속의 빈곤'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며 "과학기술부에서는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업 수요 맞춤형 프로그램을 KAIST 테크노 경영대학원에서 금년 9월부터 시범적으로 운영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최 차관은 "이는 기업의 수요에 바탕을 두어 교육과정을 새로 짜고 대학교수와 기업현장 전문가가 공동으로 교육하는 특수과정으로서 단기과정과 학위과정을 구분해 운영된다"며 "성공할 경우에는 다른 대학에 보급 확산시킬 계획"이라고 밝혔다. 조현대 연구위원은 주제 발표에서 "2001~2010년 이공계 졸업생의 전체적인 초과공급이 예상된다"며 "연평균 1만3천6백명의 이공계 학·석·박사 인력이 취업에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조 연구위원은 "특히 인력의 양적 부족보다는 세부 기술분야별로 숙련 불일치에 따른 질적인 불균형이 클 것으로 예측된다"며 "핵심연구인력에 대한 총수요의 경우 박사는 2004년 5천2백20명에서 2012년 1만5천9백90명으로 20.5% 증가할 것이며, 범산업적 수요로 인해 정보기술분야와 문화기술분야에서 양적 인력부족이 클 것"이라고 예측했다. 김종득 과학기술원 교수는 "우리나라는 독일이나 영국에 비해 전문직 규모가 전체 산업의 19.2%로 선진국에 비해 낮고 고급인력의 국제경쟁력도 취약하다"며 "따라서 전체 인력 시장의 재구성은 이러한 부분을 보완하는 방향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 교수는 "2010년까지 연구 개발 인력은 공학, 의약학, 농림.수산학의 순으로 증가할 것"이라며 "석사 이상의 연구 개발 인력의 수요는 늘어나겠지만 국내 이공학 교육에 대한 기업들의 불신이 극대화됨에 따라 양자간 불일치가 증대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병욱 실장은 이러한 이공계 위기의 극복방안으로 △초·중·고 교육의 하향평준화 탈피 △산업현장 밀착형 대학교육 강화 △기업내 이공계 인력 재교육 강화 △범사회적 이공계 우대 분위기 조성 등을 제시했다. (연합)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