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종합추진계획 수립 대비…교육부·교육청·지원기관 합동 중앙추진단 구성 
5명 공동단장 체제…차관 세종교육감 평가원장 교육개발원장 직능원장 
올해 연구·선도학교 '대폭' 확대, 105개교에서 354개교로

 ‘미래교육의 방향’으로 제시된 고교학점제의 도입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교육부와 시·도교육청, 한국교육과정평가원·한국교육개발원·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손을 걷어 부쳤다. (사진=한국대학신문DB)
 ‘미래교육의 방향’으로 제시된 고교학점제의 도입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교육부와 시·도교육청, 한국교육과정평가원·한국교육개발원·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손을 걷어 부쳤다. (사진=한국대학신문DB)

[한국대학신문 박대호 기자] ‘미래교육의 방향’으로 제시된 고교학점제의 도입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교육부와 시·도교육청, 한국교육과정평가원·한국교육개발원·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손을 걷어 부쳤다. 5명의 공동단장이 참여하는 중앙추진단을 설립해 2025년 본격 시행되는 고교학점제 도입 기반을 마련하고, 현장 목소리도 듣기로 했다. 내년에 발표될 예정인 고교학점제 추진 계획도 중점 논의할 계획이다.

교육부는 고교학점제 도입의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교육부차관을 포함한 중앙추진단을 구성함으로써 정책 추진 동력을 강화하겠다고 11일 밝혔다. 

새롭게 구성되는 추진단은 △교육부차관 △세종교육감 △한국교육과정평가원장 △한국교육개발원장 △한국직업능력개발원장 5명을 공동단장으로 두고, 고교학점제 실행을 위한 추진 체계를 정비하는 역할을 맡는다. 구체적 방안으로 △현장 중심 네트워크 구축 △연구·선도학교 확대 △일반고 학점제 도입 지원 강화 등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교육부가 추진단을 구성한 것은 미래 교육의 방향으로 제시되고 있는 고교학점제가 정상 시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교육부가 지난해 8월 ‘고교교육 혁신방향’을 통해 제시한 고교학점제 본격 시행 시기는 2025년. 2022년 전체 고교를 대상으로 고교학점제를 부분 도입한 후 전 과목 성취평가제와 함께 본격적으로 고교학점제를 2025년 시작하기로 했다. 

교육부는 계획대로 고교학점제를 시행하기 위해 내년을 목표로 현재 ‘고교 학점제 종합 추진 계획’을 수립 중이다. 올해는 추진 계획을 정밀히 구상해야 하는 중요한 시기인 셈이다. 

때문에 교육부는 지난해 연구·선도학교 운영 성과 등을 바탕으로 현장동력을 결집하고, 제도 개선·보완에 주력하기 위해 중앙추진단 구성이란 카드를 꺼내들게 됐다.

추진단은 고교학점제 도입·확산을 위한 단계적 이행을 위해 추진계획을 중점 논의할 계획이다. 교육부와 시·도교육청, 고교학점제 지원기관 합동으로 학점제 진행 상황을 점검하고 제도 개선사항도 협의하는 등 학점제 도입 기반을 마련하는 구심점 역할도 수행한다.

중앙추진단은 현장의 목소리를 듣는 데도 집중할 예정이다. 13일 열리는 고교학점제 교원 연수 현장을 방문하는 것으로 첫 걸음을 뗀다. 현장의 의견을 직접 듣고 내실 있는 정책을 마련하겠다는 취지에서다. 

지난해부터 운영된 고교학점제 연구·선도학교는 105개교에서 올해 354개교로 크게 늘어난다. 본격적인 저변 확대가 필요하다는 판단에서다. 연구학교로는 일반계고 64개교와 직업계고 38개교, 선도학교로는 일반계고 178개교와 직업계고 74개교가 각각 운영될 예정이다.

연구학교와 선도학교는 목표하는 바가 다소 다르다. 매년 4000만원에서 5000만원을 지원받는 연구학교는 학생 선택형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맞춤형 학습관리 등을 과제로 한다. 제도 개선 사항과 소요기반 등을 파악하는 데도 활용된다. 이와 달리 선도학교는 고교학점제를 추진 중인 시·도 자율 특색 사업 등과 연계해 교육과정을 다양화하고 학교 혁신 사례를 발굴하는 데 목적이 있다. 지원금은 매년 2000만원에서 2500만원으로 연구학교보다 적다.

연구·선도학교 운영방식은 지난해와 다소 달라질 예정이다. 지난해에는 진로상담 내실화 등 개설과목 확대를 대비하는데 주력했지만, 올해는 평가 신뢰성 제고와 학교환경 조성 등 보다 고교학점제에 근접한 운영방식을 모색한다. 공립·사립, 지역 등 유형에 따라 대표모델을 도출하고, 정책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하는 방안도 병행된다. 

더하여 내년부터 ‘고교 학점제 기반 조성 사업’으로 개편을 앞두고 있는 ‘고교 교육력 제고 사업’ 예산 660억원을 활용해 일반고에 고교학점제 기반을 적극 조성할 계획이다. △진로·학습설계 지도 내실화 △고교학점제 설명회 적극 추진 △전문대 연계 직업교육 위탁과정 확대 등의 학습경로 다양화 방안이 마련돼 있다. 온라인 공동교육과정 도입을 올해 완료하고, 고교학점제 실행에 대비해 정규 교육과정 편성도 지원할 예정이다. 교과중점학교 운영을 확대하는 등 지역 내 교육과정 특성화도 추진한다.

교원의 역량을 높이고 전문성을 제고하는 방안도 함께 시행된다. 연구·선도학교와 일반고 교사 대상 교원 연수를 확대하고, 소인수 선택 과목 직무 연수 등도 실시한다. 대학원과 연계한 연수 과정도 올해 신설, 지속적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고교학점제 시행에 수반돼야 할 학교 환경 조성도 시작한다. 기존 교과교실제에서 사용된 교과중심 공간 구성 방식을 지양하고 공간 유연성과 동선 효율화, 휴식·자율공을 두는 등 학점제에 맞는 공간 기준을 마련한다. 

교육부는 고교학점제 정책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현장중심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 대국민 소통 방안을 마련하겠다는 계획이다. 현장전문가를 포함한 각계각층 인사 200여 명으로 전국단위 고교학점제 지원단을 구성, 학점제에 대한 인식을 확산하고 미래 교육의 방향을 공유하겠다는 것이 목표다. 권역별 찾아가는 설명회와 정책공감 콘서트 등도 예정돼 있다.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새로운 교육으로의 이행은 우리 시대의 중요한 과제”라며 “고교학점제는 고교 교육 혁신의 출발점이자 우리 교육의 도약을 위한 마중물의 역할을 할 것”이라고 했다.

고교학점제 중앙추진단 구성도. (사진=교육부 제공)
고교학점제 중앙추진단 구성도. (사진=교육부 제공)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