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대ㆍ전문대, 국공립대ㆍ사립대, 대학 구성원이 총망라해 발전방향 모색
"대한민국 교육 난제는 대입제도 개편만으로 해결 할 수 없어"
고등교육, 지역대학 존립부터 재원마련, 연구역량 확대 등 위기 직면

ㅇ
고등교육 10개 단체 대표들이 고등교육 발전 방향을 함께 모색한다는 합의문을 발표했다. (사진=한명섭 기자)

[한국대학신문 이하은 기자] 대한민국의 고등교육 난제를 해결하고 2030 미래교육 체제를 수립하기 위해 대통령직속 국가교육회의를 포함한 고등교육 10개 단체가 머리를 맞대기로 했다. 

20일 서울중앙우체국 스카이홀에서 개최한 신년간담회에서 2019년 고등교육 분야 공동협력 방안 논의 및 공동합의문을 발표하며 “ 사회적 합의 통해 비전을 제시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는 김진경 국가교육회의 의장을 비롯해 10개 단체의 회장단 등 100여 명이 참석했다. 이들은 △일반대학과 전문대학 △국공립대학과 사립대학 △대학 경영진ㆍ교수ㆍ학생 등 고등교육 분야의 10개 단체가 총망라해 참여하며, 간담회를 계기로 고등교육의 미래 발전 방향을 공동으로 모색해나가기로 했다.

참여한 10개 단체는 △전국대학학생회네트워크준비위원회 △한국사립대학교수회연합회 △전국국공립대학교수회연합회 △민주화를위한전국교수협의회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한국사립대학총장협의회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전국국공립전문대학총장협의회 △전국국공립대학교총장협의회 △국가교육회의 등으로 구성됐다.

10개 단체는 공동합의문을 발표하며 대한민국 교육의 난제는 대학입시제도 개선이라는 방편만으로 해결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고 인식했다. 이들은 “학습자 개인의 자아실현과 함께 사회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다양한 경로의 체계를 갖추면서, 고등교육의 품질과 역량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도록 종합적이고 장기적인 고등교육 개혁에서 출발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사회적 합의’를 통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10개 단체는 “국가 차원에서 고등교육의 개혁과제와 미래의 큰 그림을 논의하는 담론의 장을 구성해, 시민들과 함께 사회적 합의를 통해 미래 고등교육의 발전 방향과 비전을 제시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정권차원을 넘어서 실행력을 담보하는 기구가 필요하다는 것에 공감하며, 향후 대학의 공공성과 자율성을 바탕으로 한 중장기 발전방향에 대해 지속해서 긴밀하게 논의하기로 합의했다.

10개 단체가 머리를 맞댄 대에는 고등교육이 위기상황에 직면했다는 데 공감했기 때문이다. 이들은 “고등교육이 △인구감소로 인한 지역대학의 존립문제 △재원 문제 △연구역량 확대와 학문후속 세대 양성 △평생·직업교육 활성화 등 무거운 과제를 안고 있는 위기 상황”이라며 “향후 종합적이고 장기적인 고등교육 개혁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이어“2019년은 3·1운동 100주년이 되는 해”라며 “이제 3·1운동을 통해 드러냈던 격조 높은 기상과 가치를 되새기고, 급격한 사회변화를 통찰하며 미래 100년을 새롭게 펼칠 준비를 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