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각계 대표 모여 소통의 자리 마련
비판 성명서ㆍ결의안 발표, 토론회 개최 등 다양

[한국대학신문 이하은 기자] 3ㆍ1운동 및 임시의정원 개원 100주년을 맞아 국회가 독립운동의 역사적 정신을 기리고, 화합하는 장을 마련했다. 각 정당 대표가 모여 소통의 시간을 가지는 한편, 성명서, 결의안을 발표하고, 토론회를 마련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대한민국 국회는 3ㆍ1운동 및 임시의정원 개원 100주년을 맞이해 1월 29일 ‘2019 국회 신춘음악회- 평화와 화합, 새로운 100년의 어울소리’를 개최했다. 국회 신춘음악회는 정부 주관 신년음악회가 서양음악을 올리는 무대인 데 비해 국악 향연으로 기획했다. 특히 올해는 3·1 운동 및 대한민국 임시정부 100주년을 맞이한 해로서 기존의 관례적인 행사의 틀을 벗어나 명실상부한 국민 통합의 무대가 되도록 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또한 이에 앞서 문희상 국회의장은 4부 요인, 정당대표, 7대 종단 대표들을 국회 사랑재로 초청해 만찬을 함께하며 소통의 시간을 가졌다. 문 의장은 “올해는 3·1 운동 100주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100주년, 국회 임시의정원 100주년이 되는 특별한 해”라면서 “통합하고, 단합하고, 하나로 묶여 세계로 미래로 나가는 새봄을 열어가길 바란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서 이낙연 국무총리는 “올해 3·1운동과 임시정부 100주년을 맞아 정부 나름대로 여러 가지 사업을 준비하고 있다”며 “정치는 말로 하는 직업이기 때문에 말이라도 따뜻한 말, 거칠지 않은 말을 쓰는 게 어떨까 생각하지만, 그것만으로는 미약하다. 이 자리에 계신 각계 지도자들께서 국민들 마음속 어딘가에 숨겨져 있을 사랑의 씨앗을 꺼내는 데 노력해주면 좋겠다”고 당부했다.

유남석 헌법재판소장은 “임시헌장이 만들어진 지 100주년 됐다. 1919년 임시의정원에서 임시헌장을 만들었다”며 “그 1조에 민주공화제가 있다. 모든 사람의 기본권, 평등, 세계평화 등이 임시헌장의 근본가치다. 헌법재판소는 올해 뜻깊은 100주년을 맞이해 그 가치가 더욱 빛을 발하도록 노력하는 것이 임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의원별로 3ㆍ1절을 기리는 활동을 하기도 했다. 이찬열 바른미래당 의원은 2월 22일 아베 정권을 향한 비판 성명서를 발표했다. 이 의원은 “3·1운동의 만세 소리가 방방곡곡에 울려 퍼진 지 올해로 100주년을 맞았다. 그러나 일본 정부는 제국주의의 뒤틀린 야욕을 노골적으로 드러내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대한민국 정부는 ‘조용한 외교’에서 탈피해 강력한 영토주권 수호 의지를 알리고 실효적 지배를 강화해야 한다”면서 “자라나는 미래세대를 대상으로 독도교육의 내실화가 시급하다”며 교육의 힘을 강조했다. 

ㅌ
김해영 의원이 기자회견에서 결의안을 발표했다.

김해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여야 국회의원 41명과 공동으로 ‘오구라 컬렉션 반환 촉구 결의안’을 발의했다. 김 의원은 2월 27일 해외 문화재 환수를 위해 활동하고 있는 시민단체인 ‘문화재제자리찾기’와 공동으로 일본 도쿄국립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우리 문화재인 ‘오구라 컬렉션’의 반환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오구라 컬렉션은 일제강점기, 일본인 사업가인 오구라 다케노스케가 수집해간 우리나라 문화재 1100여 점을 지칭한다. 

김 의원은 “3ㆍ1운동 100주년을 맞아 우리 역사의 아픔을 담고 있는 국외반출 문화재를 되찾는 것은 우리 역사와 문화의 자긍심을 지키는 아주 중요한 일”이라며 “여야 국회의원들이 힘을 모아 발의하는 이번 결의안을 시작으로 국회, 시민사회가 함께 힘을 모아 성과를 낼 수 있도록 노력해나가겠다”고 다짐했다. 

토론회를 열어 3·1운동의 역사적 의의를 심도 있게 논의하는 자리를 마련하기도 했다. 설훈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월 28일 ‘국제규범의 시각에서 본 대일항쟁기 3·1운동의 역사적 의의’를 주제로 한 토론회를 열었다. 

이날 토론회에는 20세기 초 일제의 한반도 강점 당시의 국제법하에서도 무력 사용은 제한 없이 허용되지 않았다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했다. 또한 일반 국제법상 임시정부의 법적 지위에 대한 분석을 통해 3ㆍ1 독립운동기에 대한 역사적 의의를 모색했다. 

설훈 의원은 “일본은 유감스럽게도 남의 나라를 무력으로 침탈하고 남의 나라 백성을 총칼로 억압했던, 잘못된 과거에 대해 반성하는 자세를 전혀 보이지 않고 있다”며 “바로잡지 못한 역사가 남긴 상처는 아직도 온전히 아물지 못했고, 오늘날 우리는 위안부 문제, 친일파 청산, 강제징용 배상 등 무거운 시대적 과제들을 안고 있다. 과거를 기억함으로써 현재를 성찰하고 미래를 설계하는 자세가 무엇일지 논의하길 바란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