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 유전자 가위(CRISPR/Cas9) 기반 퇴행성 뇌질환 치료 기술개발

김종필 교수.
김종필 교수.

[한국대학신문 김준환 기자]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치매 치료 기술을 개발했다.   

동국대학교(총장 윤성이)는 이과대학 화학과 김종필 교수 연구팀이 최신 유전자 가위로 알려진 크리스퍼(CRISPR/Cas9) 기반 유전자 가위 나노콤플렉스를 제작해 알츠하이머(치매) 치료에 활용할수 있는 신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신경생명과학분야의 최고의 권위가 있는 학술지인 네이쳐 뉴로사이언스(Nature Neuroscience, IF=19.912, Neurosciences 분야 1위, 상위 0.58% 이내)에 11일(영국런던시간)자에 게재됐다. 유전자 가위 기술에 기반한 유전자 치료기술은 현재 전 세계적으로 가장 주목을 받는 최신 생명공학 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특히 생체 내에서 유전자 가위를 활용한 생체 내 질환 치료용 유전자 치료기술은 생체 내 잘못된 유전자를 바로 교정해 질환 치료에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차세대 유전자 치료 기술로 주목을 받고 있다.

김 교수 연구팀은 특히 뇌 신경세포에 대한 정확하고 효율적이며 안전한 유전자 교정을 위해, 유전자 가위 나노콤플렉스(Cas9 Nanocomplex)를 제작했으며, 이를 활용해 뇌신경세포에서 효율적으로 유전자 표적 타기팅을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했다. 

김 교수 연구팀은 “이번 연구는 기존의 치매 치료제를 대체할 수 있는 유전자 가위 기반 효과적인 치매 치료용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이외 다양한 퇴행성 뇌 질환들에 대한 유전자 가위 기반 유전자 교정 치료 기술의 실용화를 높여 경제적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신경세포 적중 새로운 유전자가위 나노컴플랙스 시스템 개발 가) 유전자가위 나노컴플랙스 SEM 이미지. 나) DLS를 통해 측정된 유전자가위 나노컴플렉스 사이즈. 다) 유전자가위 나노컴플렉스 시스템을 통해 마우스 세포 내 GFP 발현을 억제 시킨 후, GFP 발현을 확인한 결과. 라) 유전자가위 나노컴플렉스 시스템을 통해 마우스 세포 내 GFP 발현을 억제 시킨 후 Western blot을 통해 확인한 결과.
신경세포 적중 새로운 유전자가위 나노콤플렉스 시스템 개발 가) 유전자가위 나노컴플랙스 SEM 이미지. 나) DLS를 통해 측정된 유전자가위 나노컴플렉스 사이즈. 다) 유전자가위 나노콤플렉스 시스템을 통해 마우스 세포 내 GFP 발현을 억제 시킨 후, GFP 발현을 확인한 결과. 라) 유전자가위 나노콤플렉스 시스템을 통해 마우스 세포 내 GFP 발현을 억제 시킨 후 Western blot을 통해 확인한 결과.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