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대 신설 최종 심사 결과가 3월 말에 발표될 예정이다. 신청 대학들은 발표를 오매불망 기다리고 있다. 어느 대학이 최후에 축배를 들고, 고배를 마실 것인가. 초미의 관심사다. 
 
결론부터 말하면 약대 신설 결과에 잡음이 없어야 한다. 즉 대학들이 결과에 승복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우려스럽다. 약대 신설을 위해 지역사회는 물론 정치권까지 가세하고 있다. 일종의 여론전이다. 모두가 약대 신설 당위성을 주장한다. 어느 대학이 최종 선정되더라도 후폭풍이 예상된다. 

심지어 내정설까지 나돌고 있다. 약대 신설 대학을 염두에 두고 추진된다는 것이다. 만일 내정설에 거론된 대학들이 약대 신설 대학으로 최종 선정되면 ‘설’은 ‘사실’이 된다. 가장 우려되는 대목이다.

사실 2010년에도 한 차례 홍역을 치렀다. 당시 교육부는 2011학년도 약대 신설 15개 대학을 선정했다. 반발이 거셌다. 특히 약대 선정에 정치논리가 작용됐다는 지적이 많았다. A대 약대 학장은 “2011학년도 약대 신설이 정치적으로 진행됐다. 이번에도 정치적으로 결정되면 후폭풍이 만만찮을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약대 신설은 철저히 ‘공정성’에 기초해야 한다. 공정성은 ‘교육논리’다. 한국약학교육협의회(약교협)는 교육부의 약대 신설 방침을 반대했다. 이는 심사 참여 보이콧으로 이어졌다. 그러나 입장을 바꿨다. 약학교육 발전을 위해 교육부와 협조체계를 구축하는 게 좋겠다는 것이 이유다.

대학가는 ‘약학교육’을 위해 결단을 내린 약교협에 박수를 보냈다. 이제 약교협의 결단은 공정 심사로 이어져야 한다. 이를 통해 정말 우수 역량을 갖춘 대학이 약대 신설의 영예를 누려야 할 것이다. 

 

[사설] ‘한국형 커뮤니티 칼리지’ 제안에 찬성한다

지역 대학 어떻게 살릴 것인가. 대한민국 교육계의 영원한 숙제다. 사실 지역 대학이 위기라는 것은 비단 어제오늘의 문제가 아니다.

김진경 국가교육회의 의장도 이러한 숙제를 다음과 같이 풀어나가겠다고 천명했다. 그는 최근 본지와의 인터뷰를 통해 “국가교육회의는 한국형 커뮤니티 칼리지를 주요 정책으로 추진하고자 한다. 지역 밀착형 대학을 만드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 의장의 발언은 환영할 일이다. ‘한국형 커뮤니티 칼리지’를 실현함으로써 지역 대학이 지역 사회 발전을 위한 마중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는 메시지가 담겨있다. 지역 대학이 지역 사회와 같이 가야 한다는 것에 어느 정도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고 본다. 특히 매년 학령인구 감소로 대학 생존에 위협을 받고 있고, 지역의 우수인재 유출을 막아야 하는 상황이라는 점에서 보면 더욱 그렇다.

문제는 ‘인식’ 차이에서 발생한다. 지역에 위치한 대학인데 지역의 특수성을 고려하지 않은 채 전국에 있는 학생들이 와주길 바라는 식이다. 일종의 중심성(centrality)과 주변성(periphery)에 대한 프레임에 갇혀 있는 것이다. 지역에 사는 학생들 가운데 성장 잠재력이 높은 학생들을 선발해 들어오게끔 하는 생각이 부족하다.

지역 대학 소멸 위기론까지 거론되고 있는 상황에서 ‘인식의 전환’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대입 정원이 고교 졸업자(고졸자) 수를 초과하는 ‘대입 역전현상’은 불과 몇 년도 안 남았다. 즉, 지역 대학이 처한 현실은 ‘생존’과 맞닥뜨릴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생존을 위해서는 이제 지역 대학은 지역 사회에서 필요한 인재를 양성해야 한다. 이래야만 대학과 지역이 상생하는 선순환 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 지역 대학과 지역 사회는 운명 공동체라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