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그린캠퍼스협의회 “평가에 대학 영향력 평가도 추가해야”

[한국대학신문 이하은 기자] 대학생 수가 줄고 있는데도, 대학의 전기사용량은 꾸준히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학이 사회적 책임을 다하도록 평가에 ‘대학 영향력 평가’ 항목을 추가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한국그린캠퍼스협의회(회장 박태윤)가 ‘한국전력 정보공개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1년 이후 고등교육기관 학생 수는 지속적인 감소 추세이지만, 고등교육기관의 전기사용량은 꾸준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8년도 고등교육기관 전력 현황을 분석한 결과, 전력사용량은 395만1550MWh이고, 전기요금은 3906억3800만원이었다. 2017년 대비 전력사용량은 6만6036MWh(1.7%) 증가, 전기요금은 93억9300만원(2.5%)이 늘어났다.

에너지다소비 대학이 많은 서울소재 고등교육기관 전력사용량은 97만1646MWh이고, 전기요금은 936억900만원이었다. 2017년 대비 전력사용량은 1만7183MWh(1.8%)가 증가했고, 전기요금은 7억8800만원(0.8%)이 늘어났다. 

고등교육기관 지역별 전력사용량 순위는 서울(24.6%)이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경기(14.6%), 경북(9.1%), 대전(6.8%), 충남(6.6%), 부산(6.0%) 순이었다. 지난해보다 전력사용량이 수도권지역 소재 대학에 전력사용량이 더 집중됐다. 수도권 서울 및 경기지역 대학을 합하면 39.2%이다. 후순위는 세종(0.7%), 제주(0.9%), 전남(2.1%), 울산(2.4%), 인천(3.0%)이었다. 

대학의 전력사용량을 분석한 결과, 최근 수도권 대학과 지방대학 간의 전력사용량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었다. 또한, 국내 대학 중 에너지소비량 2위인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 소재한 대전의 전력사용량이 증가한 점이 눈에 띈다. 

고등교육기관 지역별 전력사용량 증가 순위는 경기(1만9271MWh, 3.5%)지역이 가장 높았다. 서울(1만7183MWh, 1.86%), 대전(1만733MWh, 4.2%), 충남(8343MWh, 3.3%), 인천(4856MWh, 4.2%) 순을 기록했다. 전력사용량이 감소한 지역도 있었다. 광주(-3254MWh, -2.0%), 부산(-1148MWh, -0.5%), 전남(-938MWh, -1.1%), 대구(-729MWh, -0.6%), 전북(-505MWh, -0.3%) 등이었다. 

대학의 전기사용량 중 상당한 부분이 실험실 및 연구시설이 밀집된 이공계 대학에서 소비된다. 일반적으로 대학의 에너지사용은 연구활동, 건물 연면적, 대학생 수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한국그린캠퍼스협의회 측은 “전력사용량 증감은 대학의 지속적인 연구비 예산 확대에 따른 연구 활동 증가와 지방대학의 대학생 수 감소에 따른 영향을 받은 결과”라며 “2017년도 대학 연구비 실적 순위에도 압도적으로 수도권 대학인 서울대, 연세대, 성균관대가 각 1~3위를 차지하고 있다. 10위권 안에는 6개 수도권 대학이 포함됐다”고 분석했다.

한국그린캠퍼스협의회는 대학의 특성상 교육 및 연구를 통해 에너지 및 자원을 많이 소비하는 것이 문제가 아니라, 대학의 그린리더십 부족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 확산과 문제 제기가 필요하다는 취지에서 자료를 공개했다고 밝혔다. 

또한 세계 최고 권위의 대학평가기관 THE(Times Higher Education)의 평가지표를 예로 들며, 사회적 책무를 중요하게 평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THE는 대학 영향력 평가(University Impact Rankings)에서 기존의 대학평가와 달리 대학의 사회·지구적 책무를 주요 잣대로 삼았다. 평가 기준은 UN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중 11개 목표 달성에 대한 기여도였다. 연구 항목을 평가하더라도 ‘인류의 공통 과제인 지구적 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인가’로 판단해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기여도’를 들여다봤다. 

협의회는 “지속적인 대학의 온실가스 감축 및 녹색문화 확산을 촉진하기 위해 교육통계 및 대학정보공시제도에 기본적인 대학의 환경관련 정보를 수집해 공개해야 한다”며 “이를 통해 대학 스스로 환경관련 정보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대학의 사회적 책임에 대해 사회와 소통하는 창구로써 활용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